CO₂→휘발유 직접 전환….화학연 최적화 촉매기술 개발

이산화탄소(CO₂)를 휘발유로 직접 전환하는 촉매 원천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정부가 추진하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을 돕는 핵심 기반이 마련됐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미혜)은 전기원·김석기 탄소자원화연구소 박사팀이 CO₂를 휘발유(탄화수소)로 전환하는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관련 공정 촉매를 최적화·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촉매기술을 이용해 이산화탄소에서 전환한 휘발유
촉매기술을 이용해 이산화탄소에서 전환한 휘발유

연구팀은 2단계로 나뉘어 있던 간접 전환 공정을 단일화·통합하는 방법으로 직접 전환 공정을 마련했다. 이 경우 300도 저온에서 전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기존 간접 전환 반응에 필요한 800도 대비 절반 이하다.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어 효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관건은 직접반응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이다. 그동안은 메커니즘이 베일에 가려져 있어 촉매 성능 최적화에 한계가 있었다. CO₂를 휘발유로 직접 전환하는 것에는 철이 주된 역할을 하고 구리·칼륨 촉매가 이를 보조하는데, 연구팀이 구리와 칼륨 역할을 규명했다.

철·구리·칼륨 촉매 표면에서 이산화탄소(CO2)로부터 휘발유를 생산하는 반응을 나타낸 그림
철·구리·칼륨 촉매 표면에서 이산화탄소(CO2)로부터 휘발유를 생산하는 반응을 나타낸 그림

연구 결과 구리는 CO₂를 일산화탄소(CO)와 산소(O)로 쪼개고, 철 표면에 흡착된 산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 기반 촉매 반응을 보조한다. 칼륨은 CO가 연쇄 결합해 휘발유로 바뀌는 '탄화수소 성장 반응'을 촉진시킨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활용해 촉매에 들어가는 적절한 구리·칼륨 양을 도출하고, 최적화 촉매를 개발했다. 개발 촉매는 20%에 달하는 안정적인 휘발유 전환효율을 보였다.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연구진. 사진 왼쪽부터 한승주 박사, 전기원 박사, 김석기 박사, 박해구 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연구진. 사진 왼쪽부터 한승주 박사, 전기원 박사, 김석기 박사, 박해구 연구원.

전기원 박사는 “간접 전환 방식보다 효율적인 직접 전환 공정 개발에 큰 도움을 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며 “이번에 개발한 원천기술을 파일럿 플랜트 단계로 키우는 연구에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