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정밀농업 '데이터 경제' 관점으로 육성해야

한국국토정보공사 책임연구원/공학박사
한국국토정보공사 책임연구원/공학박사

농업은 현대문명을 유지하게 하고 사람 생명을 영위하게 하는 기초 산업이다.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농업 비중은 2016년 기준 2.0%에 머물고 있으며, 농촌기피현상 심화에 따라 비워진 농촌 들녘에는 외국인 노동자가 채우고 있다. 우리 농업은 이대로 괜찮은 것인가.

농업이 튼튼할수록 국가경제 체질이 강하다는 것을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독일, 프랑스 등 농업 선도국이 위기를 잘 견뎌 낸 것을 통해 알게 됐다. 경각해야 할 것은 농업 선도국이 농업과 정보통신기술(ICT) 간 융합을 추진, '정밀농업'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정밀농업이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ABCD(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드론)을 통해 전통 투입 자원인 노동력 및 투입재를 최소화하면서 생산량을 최대화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글로벌 통계포털서비스 스타티스타 자료에 따르면 정밀농업 세계 시장은 연평균 12~1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밀농업 시장 가치는 2018년 약 5900만달러에서 2023년까지 940억달러로의 증가가 전망된다. 엄청난 성장세다.

필자는 드론 기반 정밀농업 관련 세계 SCI급 논문 1만여건을 분석했다. 미국, 유럽, 중국이 주도하고 있었다. 줄곧 대학 중심 연구 체계를 갖춘 미국이 세계 1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국가기관 중심 정책을 추진해 온 중국이 2010년부터 미국을 앞질러 선도국으로 떠올랐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연구 성과가 매우 저조, 미래 성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글로벌 정밀농업 성장 국면에서 국내 농업은 자본력, 인력, 기술력 모두 열악한 상황이다. 막대한 자본력과 고도의 기술력을 확보한 글로벌 선도 기업이 세계 시장을 선점해 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국가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

정부도 스마트팜을 필두로 적극 대응하고 있다. 온실·축사·과수원 등 영농 현장을 대상으로 생육환경 유지관리, 환경정보 모니터링, 자동·원격 환경관리를 위한 센서 기반의 정보 제공 및 자동화 측면으로 기술이 성장해 왔다. 그러나 아쉽게도 두각을 나타내는 성공 사례는 아직 나타나지 못했다.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는 노력은 계속 요구되고 있다.

미국·유럽 등 선도국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등 핵심 기술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 트랙터 및 드론 등을 통해 정밀한 비료 및 농약 살포, 잡초 제거, 농작물 수확 등이 상용화 단계를 넘었다.

이러한 기술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반은 데이터라 할 수 있다. 특정 작물의 구분, 작물과 잡초 구분, 농작물 수확량 예측 모두 빅데이터가 축적돼야 한다. 이에 기반을 둔 AI 알고리즘을 학습시켜야 정밀농업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발판이 되는 것이다.

한 예로 농작물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해 고정밀 영상 빅데이터를 주기로 확보하고 데이터 속에서 새로운 통찰력과 가치를 창출하면 수급 조절의 기초가 되는 재배 면적, 작황 모니터링을 통해 농산물 수급 관련 정부의 선제 대응에 기여할 수 있다. 정확한 수확량 예측으로 농산물 수급 조절 불안정에 다른 사회 손실 절감 및 농가 소득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시작이 중요하다. 전문가는 이구동성으로 데이터 부족 또는 품질 문제를 제기한다. 데이터는 하루아침에 쌓이는 것이 아니며, 심지어 데이터 축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마저 부족한 상황이다. 더 많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는 AI 성능 향상으로 직결되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먼저 확보할수록 고도의 솔루션을 개발하게 돼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패스트 무버가 된다. 이것이 바로 '데이터 경제' 원리다.

앞으로 농업이 4차 산업혁명을 통해 변화될 모습은 무궁무진하다. 미래의 변화를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밀농업 빅데이터 축적에 대한 정부의 체계화한 관심과 지원 지속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산업 육성 및 국가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배성훈 한국국토정보공사 책임연구원 shbae29@lx.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