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신약 개발자' 박성규 GIST 생명과학부 교수

“신약 개발에서 정확한 데이터가 가장 중요합니다. 여러 환경과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통해 여러 연구실에서 재현성이 높은 약물 후보군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박성규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면역학자이며 신약 개발자'다. 고교 3학년 때 생물과목 담임교사의 유쾌한 수업에 매료돼 생물 교사를 꿈꾸며 진학한 대학(생물교육과)에서 연구개발(R&D) 재미에 푹 빠져 지도자이자 과학자, 신약 개발자의 길을 걷고 있다.

2009년부터 GIST에 재직 중인 박 교수는 면역기전 연구 및 치료제 개발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2016년 면역질환을 제어할 수 있는 조혈모세포를 기반으로 골수성면역조절 세포(MDSC) 기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세포치료 기술을 개발, 생명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셀(Cell)의 자매지인 '셀 리포트'에 발표했다. 만성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 치료제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박성규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박성규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또 보건복지부 희귀질환진단치료기술연구인 염증성 면역질환 환자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에도 참여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염증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유전체를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기법으로 새로운 변이를 찾아내 실제 기능이 어떻게 변화됐는지를 규명했다. 이미 임상에서 사용하는 약물이 실제로 변이에 의한 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지 등 환자의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해 호평을 받았다.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는 향후 5~7년 내 신약으로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다. 생쥐모델에서 경구용으로 사용한 결과 이 약물은 B형 간염바이러스의 복제를 효율적으로 억제한 것으로 나타나 식품의약품안전처 1차 치료제 임상3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위한 비임상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박 교수는 “수천 종의 화합물 동정을 통해 현재 상용화를 기다리고 있는 약물보다 좋은 효능을 지닌 화합물을 찾아냈다”면서 “국내 및 국제특허(PCT)를 출원했으며 아직 화합물 구조를 공개하지 않은 많은 약물 후보군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 '2019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시상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과학자는 R&D 결과물로 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에게 과학자적인 흥미 및 즐거움에 관해 얘기하지만 본인의 과학에 대해서는 책임질 수 있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박 교수는 신약을 개발하는 벤처 창업에도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그동안의 R&D 경험을 살려 획기적 치료제를 개발해 보편적 복지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박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 신약을 내놓는 것이 일생의 목표이자 꿈”이라면서 “지속적인 R&D와 훌륭한 과학자를 양성하는 데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박성규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박성규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