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대책 여파 '인구이동률' 47년 만에 최저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읍면동 기준으로 거주지를 옮긴 건수가 47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9·13 대책 등 여파로 주택매매가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3000명(2.6%) 감소한 710만4000명이었다.

인구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은 13.8%로 0.4%포인트(P) 하락해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았다.

김 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해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인구이동 사유별로 보면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 수가 16만3000명 줄었다. 지난해 주택매매량은 전년보다 6.0%(5만1000건), 신규입주 예정 아파트 수는 11.6%(5만3000건) 각각 감소했다.

인구이동 사유를 비중으로 따지면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 순이었다.

시도 내 이동인구(471만9000명)는 3.0%, 시도 간 이동인구(238만5000명)는 1.8% 각각 줄었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25.3%)이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15.0%), 서울(14.9%), 경기(14.9%) 등 순이었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등 순으로 높았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3000명), 충북(3000명), 강원(2000명) 등 5개였다.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보다 순유입이 감소했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인구 대비 순이동자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으로 높았고, 순유출률은 대전(-1.1%), 대구(-1.0%), 울산(-0.9%)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10∼20대 이외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6000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