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지자체 배달앱 통합..."제로페이가 대항마 될 수있다"

배달의 민족 수수료 변경안이 논란에 휩싸이면서 통합 플랫폼인 '제로페이'를 활용하자는 제안이 나와 주목된다.

e커머스와 은행, 간편결제 등 다수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만큼, 온라인 제로페이를 활성화하고 여기에 O2O 기능을 입혀 지자체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기능을 통합관리하자는 것이 골자다.

은행 직불결제와 전통 상품권,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화폐까지 결제 연동해 범용성을 높이고 전자결제 사업자를 통해 이들 결제 수단을 혼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이다.

중대형 스타트업이 최근 배달의민족 수수료 갈등에 대한 대안으로 제로페이 플랫폼을 지자체와 통합, 연계하자는 주장을 제기했다.

배달의민족은 지난 1일 기존 정액제에서 주문 성사 시 5.8%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률제로 요금 체계를 개편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수수료 부과 방식을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바꾼 배달앱 플랫폼 배달의민족을 향해 '독과점의 횡포'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 지사는 이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경기도주식회사, 경기도콘텐츠진흥원 등 공공기관, 관련 부서 등과 함께 긴급회의를 통해 현황을 점검하고 공공앱 개발 등 대응 방침을 확정했다. 서울시도 자체 배달앱 상용화에 나섰다.

제로페이에 참여 중인 여러 사업자들은 지자체별 배달앱을 만들기보다 하나의 통합 플랫폼을 만들어 이중 투자를 막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도입해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지자체 상품권 유통 대행은 물론 선불 결제까지 허용되는 제로페이 안에 지자체별 통합 앱을 입점시켜 관리하거나, 포인트나 마일리지 등을 상계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다. 지난해부터 제로페이 온라인·모바일 결제 사업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코로나19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사업 논의가 지지부진하지만, 소상공인 배달 수수료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된 만큼 제로페이 온라인·모바일 결제 사업에 O2O기반 배달 서비스를 탑재하고, 전국 지자체가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 대형 정보통신기술(ICT) 고위 관계자는 “지자체별로 배달앱을 만들 경우 현재 가맹점 확대나 향후 이중 투자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선불은 물론 직불결제, 여러 상품권 결제까지 가능한 제로페이 플랫폼을 배달 영역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1번가와 이베이코리아, KT, KG이니시스, 페이민트, 카카오페이, 한국전자영수증, 코스콤, 한패스, 핀크, 이비카드(캐시비),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티모넷, 하렉스인포텍(유비페이), KIS정보통신, KSNET 등 결제부터 스마트오더까지 가능한 여러 기업이 온라인 제로페이 사업 참여를 확정한 바 있다.

인프라와 가맹점, 소비자를 모두 확보한 주요 사업자가 대거 참여한 만큼 통합 배달 앱 상용화는 어려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결제 수단도 다양화할 수 있다. 은행 잔고 기반 직불 결제는 물론 지역화폐와 지자체 상품권 등으로 결제하고, QR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O2O가 가능하다.

지난해 중기부는 온라인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O2O 기반 배달 기능도 초기 검토한 바 있다. 민간으로 이양된 만큼 가맹점 충원과 함께 이 참에 전국을 아우르는 배달 통합앱을 만들자는 목소리가 높다.

다만 카드결제가 많은 점과 가맹점 부족은 해결 과제다. 또 일각에서는 배민 문제로 인해 민간 주도 시장을 정부가 침해하는 일은 있어선 안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은 “지자체 등에서 추진 중인 사안을 제로페이에 강제 통합하자는 계획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다만 여러 의견이 개진되면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