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머크, 한국에 '반도체 소재' 첨단기술센터 연다

English Translation

평택 송탄산단에 350억 투입
핵심 R&D 허브로 역량 강화
공급망 재편 이슈 떠오르면서
글로벌 기업 투자계획 이어져

獨 머크, 한국에 '반도체 소재' 첨단기술센터 연다

독일의 세계적인 화학업체 머크가 한국에 반도체 소재 연구소를 연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 개발을 위해 한국에 연구개발(R&D) 기능을 두는 것으로, 지난해 세계 3대 반도체 장비 업체 램리서치가 R&D센터를 설립키로 한데 이은 글로벌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체의 또 다른 한국 진출 사례다.

세계 메모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한국에 있고, 일본 수출 규제 및 코로나19에 따른 공급망 재편 이슈가 더해지면서 해외 반도체 업체들의 대 한국 투자가 더욱 가속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일본 수출 규제 위기를 극복하고 오히려 생태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기회를 맞고 있다.

머크는 30일 경기도 평택 송탄산업단지에 한국 첨단기술센터(K-ATeC)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350억원 이상이 투자된 첨단기술센터는 화학처리기계연마(CMP) 슬러리 및 포스트-CMP 클리닝에 대한 R&D를 수행한다. CMP 슬러리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연마, 평탄화하는 데 사용하는 화학물질이다.

센터는 면적 3240m²에 총 5층 건물로 세워졌다. 고객 평가를 위한 샘플링 랩, CMP 소재를 설계하고 분석하는 리서치 랩, 300㎜ CMP 웨이퍼 연마 시스템, 웨이퍼 결함 검사 장비 등 전문 설비가 갖춰진 클린룸으로 구성됐다.

머크가 경기도 평택 송탄산업단지에 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연구할 한국 첨단기술센터(K-ATeC)을 열었다. 앞쪽 흰색 건물이 K-ATeC이다.<제공: 머크>
머크가 경기도 평택 송탄산업단지에 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연구할 한국 첨단기술센터(K-ATeC)을 열었다. 앞쪽 흰색 건물이 K-ATeC이다.<제공: 머크>

머크가 한국에 반도체 소재 R&D를 두는 건 이례적이다. 머크는 352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과학기술 전문 기업이자 연매출이 20조원을 넘는 세계적 화학 기업이다.

머크는 최근 버슘머트리얼즈, 인터몰레큘러를 잇달아 인수했다. 반도체 소재 사업을 육성하기 위한 행보로, 한국 R&D센터 설립 역시 이 같은 연장선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투자는 전 세계 반도체 산업에서 한국의 위상이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사례여서 주목된다. 머크에 앞서 세계 3대 반도체 장비 업체인 미국 램리서치는 경기도에 R&D센터를 짓기로 결정했다. 일본의 세계적 반도체 장비 업체 도쿄일렉트론(TEL)도 올해 초 평택에 대규모 고객 지원센터를 준공했다.

이 같은 글로벌 기업의 잇단 한국 투자는 지난해 일본 수출 규제 후 가속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 듀폰도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 공장을 충남 천안에 짓기로 했다.

지난해 일본의 기습적인 수출 규제로 국내 반도체업계는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이는 세계 메모리 1, 2위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하여금 공급망을 재편하게 하고 산업 생태계 강화를 촉발했다. 이에 이해관계가 일치한 세계적 반도체 기업의 한국 진출이 줄을 이어졌고, 우리나라가 세계 반도체 산업의 핵심지로 떠오르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머크 소재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카이 베크만 회장은 전자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은 머크는 물론 전체 반도체 산업에 중요한 허브”라면서 “앞으로도 공급망의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크만 회장은 “CMP 외에도 박막과 패터닝 분야에서 한국 내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9월 투자 협약식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쪽)와 티모시 M. 아처 램리서치 CEO가 악수를 나누는 모습.
지난해 9월 투자 협약식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쪽)와 티모시 M. 아처 램리서치 CEO가 악수를 나누는 모습.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