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억 규모 '가상 국토정보 R&D' 시동

국토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기획
초정밀·초연결·초지능 3대 축으로
3차원 정보 기반 '디지털 트윈' 구현
과기정통부 예타…연내 결과 윤곽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초정밀·초지능 국토정보를 구축, 활용하는 대형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최근 한국판 뉴딜 사업에서도 안전한 국토·시설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이 핵심 과제로 제시되는 등 공간정보 활성화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관계 기관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1800억원 규모의 '디지털 라이브 국토정보 R&D' 사업을 기획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예타 결과는 올해 안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사업은 초정밀·초지능 국토정보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가상국토', 즉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업계획에 따르면 오는 2022년부터 5년 동안 1800억원이 투입된다. 역대 공간정보 분야 R&D 사업 가운데 최대 규모다.

사업은 디지털 트윈 구성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초정밀·초연결·초지능 3가지 기술을 축으로 이뤄진다. m급 신뢰도를 ㎝급으로 높이고, 이 같은 초정밀 가상국토정보를 자동 구축·갱신한다. 행정정보 같은 정태 정보를 사물인터넷(IoT) 센서나 모빌리티 등 동태 정보와 연결해 처리한다.

이를 뒷받침하려면 고용량 데이터 분석 기술도 필요하다. 고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지능형으로 분석하는 기술 개발이 사업에 담긴다.

공간정보의 중요성은 디지털 라이브 R&D 사업과 함께 문재인 정부의 역점 사업인 한국판 뉴딜에서도 강조됐다. 디지털 트윈은 한국판 뉴딜의 핵심축인 디지털 뉴딜에서 5대 대표 과제의 하나로 제시됐다.

디지털 트윈은 3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행정·민간정보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결합·융합한 것이다. 국토·도시 문제의 해법을 제공하고 스마트시티·자율주행차 등 신산업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기본 인프라로 여겨진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 사업을 통해 △전국 3차원 지도 △지하공간통합지도·지하공동구 지능형 관리시스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조기에 완료하기로 했다. 국내 관련 산업 진흥에도 나섰다. 최근 국토부는 국내 공간정보 산업 진흥을 위해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 핵심 지리정보시스템(GIS) 엔진을 국산으로 교체하는 작업도 하고 있다.

업계는 정부의 공간정보 사업으로 관련 생태계가 활력을 띨 것으로 기대했다. 그동안 정부가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실제 사업에서는 예산 문제 등으로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종이 기반 지적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지적재조사 사업이나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사업이 매년 예산 부족으로 더디게 진행됐다.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과 한국판 뉴딜 사업을 발판으로 공간정보 활용과 구축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스마트시티, 데이터 경제 등 신산업 활성화로 데이터 융·복합 활용 기반인 공간정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시대 흐름에 맞춰 공간정보 융합 생태계로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