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까지 민간 주도로 초소형위성 100기 이상 개발

2031년까지 민간 주도로 초소형위성 100기 이상 개발

6G 위성통신을 위한 통신위성, 우주전파환경 관측 위성 등 공공분야에 쓰일 초소형 100기 이상이 민간 기업 주도로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과 '우주산업 전문인력 양성 추진방안'을 보고했다.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은 2031년까지 공공분야 초소형위성 100기 이상을 산업체 주도로 개발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국가 안보를 위한 (초)소형위성 감시체계 구축, 6G 위성통신을 위한 초소형 통신위성 시범망 구축, 우주전파환경 관측을 위한 초소형위성망 구축, 미래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초소형 검증위성 개발 등 4개 사업을 추진한다.

1호기(시제위성) 개발부터 국내 산업체가 참여하고, 2호기부터는 산업체 주관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초소형위성은 단기간·저비용 개발이 가능해 민간이 우주개발에 참여하는 진입장벽을 낮추고, 우주 상품 및 서비스의 경제성을 높여 우주산업이 활성화되는데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와함께 중소벤처기업이 우주 산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초소형위성 기반의 우주 비즈니스 시범모델 개발을 위한 '스페이스 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한다. 중간평가를 거쳐 선정한 4개 기업에 3년간 20억원, 우주전문기관의 기술자문·일정관리 등을 지원한다. 사업모델이 성공적으로 검증될 경우 후속위성 양산과 수출·사업화 등을 위한 지원을 2년 동안 추가로 받는다. 초소형위성에 적용할 상용부품 선별에 필요한 개발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도록, 초소형위성에 적용한 상용부품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기업에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민간의 우주개발 참여 확대에 따라 증가하는 우주인력 수요에 대응, '우주산업 전문인력 양성 추진방안'도 본격 추진한다. 우주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인력 양성을 위해 연간 100여명을 대상으로 우주기술 전문연수를 실시한다. 우주산업체 채용을 연계해 연 60여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우주전문기관의 시설·장비를 활용한 현장교육을 지원한다.

위성 체계개발이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 10여명을 대상으로, 2년간 위성개발 사업에 직접 참여하며 전문가의 도제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우주탐사, 우주통신, AI·빅데이터 융합 우주기술 등 전략적인 인력양성이 필요한 분야는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설치,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우주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 종사자 대상 직무교육도 마련한다. 연 200여명 이상 주요 분야별 이론·실습·현장교육 등을 지원하며, 글로벌 우주기술·시장 동향을 제공하는 세미나를 지원한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1차관은 “산업체 주도의 초소형위성 개발과 우주산업 전문인력 양성이 우리나라 우주기업의 역량 강화와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활성화되고, 글로벌 우주기업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