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드론으로 UAM 첫 기술검증 나서

무인항공기 비행허가 받아
드론으로 요소 기술 검증

UAM 이미지 (출처 : 슈퍼널)
UAM 이미지 (출처 : 슈퍼널)

현대자동차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체에 적용할 기술을 무인항공기(드론)에 우선 적용해 첫 시범 비행에 나선다.

3일 국토교통부 산하 서울지방항공청 등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2월과 3월 연이어 '무인항공기 비행'과 '이륙·착륙 장소 외에서의 이륙·착륙, 최저비행고도 아래에서의 비행' 허가를 받았다. 항공안전법에 따라 무인항공기 비행을 위해선 비행 예정일 7일 전까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드론을 통한 시범 비행은 전기수직이착륙(eVTOL) 기체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테스트하는 과정이다. 이는 비행제어 기술 검증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1세대 UAM 기체에는 조종사가 탑승할 예정이지만 특별한 조작 없이도 일정한 고도를 유지한 채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떠 있어야 한다. 특정 로터 고장이 날 경우에는 다른 남은 로터만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기술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한 핵심 기술이 비행제어다.

현재 eVTOL 연구개발(R&D)은 현대차 미래항공모빌리티(AAM)본부와 미국 자회사 슈퍼널이 협업 중이다. 기체 구조와 소프트웨어(SW) 설계, 전기체 시스템 통합, 자율비행 등 여러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투입됐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슈퍼널 연구소 두 곳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활발하게 R&D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차가 계획한 여객용 UAM 서비스 상용화 시점은 2028년이지만 이에 앞서 기체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현대차가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 중인 'K-UAM 그랜드 챌린지' 사업의 도심 실증도 이르면 2024년에 시작된다. 현대차는 고정익에 복수의 틸트로터를 장착한 eVTOL 기체 모형을 공개했으나 콘셉트 모델로 실제 비행이 가능한 프로토타입은 아직 선보이지 않았다.

현대차는 비행제어 기술을 비롯한 요소 기술을 확보한 후 본격적인 기체 설계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1세대 기체는 경쟁사와 마찬가지로 미국, 유럽의 항공 전문 부품사와 협업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유럽 항공안전청(EASA) 인증을 빠르게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2세대 기체부터는 국내 업체와도 협업해 국산화율을 올리고 UAM 산업 기반을 육성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시범 비행뿐만 아니라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터도 적극 활용한다. 현실 세계와 동일한 가상 현실을 만들어 이곳에서 실험 데이터를 쌓고 수정하는 방식이다. R&D 속도를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범 비행 사고 위험도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무인항공기 비행 허가를 받은 것은 UAM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