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산업부, 나노 R&D 맞손…전주기 협의체 구성

정부가 나노 분야 연구개발(R&D) 중복을 해소하고 지원체계를 효율화하기 위해 전 주기적 나노 R&D 협력 시스템을 구축한다. 범 정부 나노 R&D 로드맵을 수립하고 부처별로 제각각 운영되던 나노 인프라 지원기관도 재편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과총회관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나노융합 확산 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김재홍 산업부 1차관과 이상목 미래부 1차관(왼쪽 네번째부터)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과총회관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나노융합 확산 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김재홍 산업부 1차관과 이상목 미래부 1차관(왼쪽 네번째부터)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과총회관에서 양 부처 차관과 산하 연구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나노융합 확산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두 부처는 2012년 기준 정부 나노 관련 예산 중 절반이 넘는 68.2%(약 1930억원)를 운영했다. 그간 미래부가 나노원천기술 확보, 산업부가 나노산업 육성을 각각 맡는 식으로 역할을 분담했으나 상호 연계가 미흡하고 일부 분야는 중복돼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추진하던 사업을 재점검해 상호 연계를 꾀하고 중복성을 해소하기로 합의했다. 먼저 오는 3월부터 기초·응용·상용화 전 단계에 걸친 `전 주기 나노 R&D 연계 협의체`를 구성, 공동 운영한다.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를 내고도 사업화로 이어가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협의체를 통해 R&D 중복 투자도 사전에 차단한다. 협의체에는 양 부처는 물론 산하 R&D 및 나노 관련 기관도 참여할 예정이다.

사업 협력도 구체화한다. 미래부가 5년 단위로 수립해온 나노 R&D로드맵 `국가 나노기술지도` 작성에 산업부가 동참하고, 산업부는 이를 산업기술 R&D 전략에 반영한다.

나노 인프라 기관은 기능별로 재편된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각각 대전·수원과 포항·전주·광주·대구 총 여섯 곳으로 나눠 나노 인프라 기관을 운영했다. 일부 기능은 중복된 반면 또다른 부분은 양쪽 모두 제때 지원하지 못하는 등 문제를 노출했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오는 3월 나노인프라 공통·특화서비스 개편안을 마련해 5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단위 공정, 소재 측정·분석 등은 공통 서비스로 가져가되 메모리칩·LED·전력반도체 등은 기관별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이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나노융합확산 민관 협력위원회`를 구성해 분기별로 두 부처 협력 현황을 점검·확인하는데도 합의했다. 양 부처는 나노융합 협력에 힘입어 14~20%에 이르는 R&D 비용 절감과 2015년 이후 연간 200명 이상의 추가 고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상목 미래부 차관은 “기술 개발이 일자리와 신산업으로 이어지려면 산업부를 비롯한 범 부처 연계 협력이 필요하다”며 “R&D 단계부터 산업부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재홍 산업부 차관은 “미래부와 힘을 합쳐 나노융합이 확산되고 창조경제를 꽃피우기 위한 소통·협력의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