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 학교 스마트교육 사업, 업계 의견 엇갈려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교육 사업이 예산 부족과 전략 부재 탓으로 지지부진한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업계 입장도 엇갈린다.

이명박 정부 때부터 교육부가 2015년 실시를 목표로 잡았던 스마트교육 사업이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디지털교과서 제작업체를 비롯한 교육전문기업의 입장 차이가 뚜렷해지고 있다. 정부는 오는 7월 전까지 스마트교육 사업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방침이다.

교육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기반의 스마트러닝으로 개발하는데 점진적 도입이 필요하다는 측과 글로벌 교육환경과 기술발전을 반영한 빠른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 맞선다. 기존 학교 교과서 출판제작업체들과 이러닝·스마트러닝 전문기업 간 물밑 신경전으로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디지털교과서 점진 도입을 주장하는 측은 “그동안 교육정보화사업 중에 성공사례가 한 건도 없었고 최신 IT만 앞세워 교육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괴리가 크다”며 “지금의 교과서를 전자책과 같은 PDF 문서로 만들고, 이후 동영상 멀티미디어 교육을 지원한 다음에 개인화된 맞춤서비스를 단계별로 제공하는 것이 학교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사이버가정학습이나 IPTV를 활용한 교육정보화 사업 등이 사실상 실패했기 때문에 태블릿PC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추진도 면밀한 재검토 이후에 천천히 도입해도 된다는 입장이다.

이와 반대로 글로벌 환경 변화에 발맞춰 스마트교육의 적극적 추진을 원하는 목소리도 높다. 특히 세종시 등 일부 시범학교에서 2년간 진행했던 연구사례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교육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렸다.

이러닝 업체 관계자는 “그동안 교육정보화사업이 실패했던 것은 콘텐츠가 아닌 하드웨어 제조업체나 통신사업자들 위주로 사업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꼬집으며 “학교 민간교육시장과 해외에서는 ICT를 활용한 스마트러닝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만큼 공교육에서도 콘텐츠, 솔루션, 하드웨어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가그룹을 구성해 전략을 내놓아야한다”고 말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