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동반성장지수 기업 규모·역량 등 특성 감안해 개선해야"

현행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기업 규모, 경영 역량, 업종 특성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같은 기준에서 상대평가를 받으면서 하위에 진입한 회사들이 평가받기를 꺼리는 사례도 종종 있다. 기업의 자발성과 동반성장 효과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평가방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상생협력연구회는 23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학계, 기업체 임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유가치창조형(CSV) 상생협력 평가모델 발표회`를 개최 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상생협력연구회는 23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학계, 기업체 임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유가치창조형(CSV) 상생협력 평가모델 발표회`를 개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 상생협력연구회는 23일 제4회 건강한 기업생태계 조성포럼에서 ‘공유가치창조형(CSV) 상생협력 평가모델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성근 성신여대 교수는 “현행 동반성장지수를 기업 규모와 협력사 역량에 따라 ‘5단계 스텝-업’ 평가방식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성장위원회가 상대평가 방식으로 ‘우수-양호-보통-개선’ 네 등급으로 나눠 매년 결과를 발표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평가하는 공정거래협약과 동반위가 조사하는 중소기업체감도를 50대 50의 비율로 합산한 값이다.

이 교수는 “현재 4등급에서 하위등급을 받은 기업은 ‘동반성장 꼴찌 기업’으로 이미지가 훼손되지만 이들 기업은 평가 대상이 아닌 기업과 비교하면 동반성장을 비교적 잘 준수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평가대상 기업을 기업 규모별, 경영 역량별, 업종 특성별 등으로 나눠 지수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동반성장협약 평가 항목의 구성과 이행난이도를 기업역량과 실제 상황에 맞게 1~5단계로 차등 설계해 평가하고, 평가받은 기업은 동반성장 이행 수준을 단계적으로 높여가면서 점차 상위 레벨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안이다.

다른 발표자인 김기찬 카톨릭대 교수는 “동반성장 지수가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Input)에만 너무 집중하는데 실제로 주변 산업 생태계 경쟁력이 강화됐는지 여부(Output)에 대한 평가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력사의 연구개발과 생산성, 수출 등을 지표로 만들고 취약점을 찾아 보완해 나가는 노력을 주된 평가항목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수욱 서울대 교수는 협력사 역량별 수요에 맞게 대기업이 지원할 수 있도록 체감도 산출방식을 개선하자고 제안했고, 이종욱 서울여대 교수는 공유책임활동(CSV) 기반의 참여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 등을 언급했다.

양금승 전경련 협력센터 소장은 “동반성장 기업문화를 꽃 피우려면 기업 역량에 따라 노력에 상응한 인센티브를 받는 평가모델이 동반성장지수의 대안 모델로 채택돼야 한다”며 “이를 정부와 동반성장위원회에 건의하고 제도화 방안을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