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이신두 서울대 교수, 융합형 기술 개발에서 해답을 찾아라

나노 기술을 응용한 세포 구조 구현, 액정 기술을 활용한 인공 홍채….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최근 주도한 연구 결과물들이다. 주목받는 이유는 향후 질병 치료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 때문만은 아니다. 응용 영역 파괴, 즉 융합형 기술 개발에 성공한 사례라는 점에서 큰 화제가 됐다.

[이사람]이신두 서울대 교수, 융합형 기술 개발에서 해답을 찾아라

이신두 교수는 “전자 소재에 주로 쓰이는 소재지만 이 또한 자연 현상을 응용한 기술인만큼 바이오 기술과 얼마든지 융합이 가능하다”며 “그런 시도가 이뤄질 때 소재 분야의 시장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게 커진다”고 말했다.

최근 연구 결과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이렇다. 첫 번째는 생체 적합 고분자를 이용해 세포가 어떻게 신호를 전달하고 단백질을 결합하는 지를 테스트하는 인공 플랫폼을 만든 것이다. 알츠하이머 등 신호 전달에 관련된 신약을 개발할 때 생체 실험 전에 그 현상을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 플랫폼을 만든 데는 나노 기술이 큰 역할을 했다.

인공 홍채도 마찬가지다. LCD의 핵심 소재인 액정으로 인공 홍채를 만든 것이다. 액정이 빛에 의해 두께 조절이 가능해 빛의 세기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는 홍채 주름과 유사한 효과를 낸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창조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기존 기술을 다른 영역의 기술과 융합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것이 그가 보는 ‘창조’의 방법이다.

융합 기술 개발에서도 이 교수가 바이오나 의학에 지식이 있었기 때문은 아니다. 오히려 몰랐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력을 얻을 수 있었다. 물리학을 전공한 그는 포괄적인 자연 현상에 초점을 맞췄을 뿐이다.

이 교수는 “이런 결과물을 얻기 위해 의학 분야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며 “융합 기술이라고 하면 아직도 모호한 개념으로 받아들이지만 발상을 달리 해야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 논문이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 등 권위 있는 학술지가 실은 것도 새로운 성과의 의미를 인정해서다.

이 교수에게 연이어 희소식도 날아왔다. 지난 4월 제59회 정보통신의 날에서 이 교수는 과학기술부문 훈장(2등급, 혁신장)을 받았다. 또 대한민국 학술원장 수상자에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한국 최초 액정 과학자라서 액정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이 교수는 “그동안 액정 기술 개발에 전념했다면 앞으로는 이를 응용한 많은 융합형 기술 개발에 도전하고 싶다”며 “그것이 창조 경제에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