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된 정부 문화데이터, 활용사례 ‘쑥쑥’

정부가 개방한 문화·콘텐츠 부문 공공데이터(이하 문화데이터)를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18일 정부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센터 등 문화부 산하기관이 작년부터 공개를 시작한 문화데이터가 총 297종으로 확대됐다. 문화데이터를 활용해 사업으로 연결시킨 사례는 올해 공식 발굴된 것만 329건으로 작년(272건)보다 약 1.2배 늘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개방한 전통문양 DB를 적용해 제작한 연필.
문화체육관광부가 개방한 전통문양 DB를 적용해 제작한 연필.

문화부는 329건은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에 출품한 건수만 집계한 것으로 실제 활용 사례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평가했다. 국정과제 ‘정부3.0’에 따라 작년부터 다양한 종류의 공공데이터가 개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양한 분야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문화데이터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분석이다.

문화데이터 활용은 중소 콘텐츠·정보기술(IT) 기업과 공공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공연·체육·관광 관련 정보와 전통문양과 같은 이미지를 활용해 각종 상품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하는 등 사업화가 활발하다.

한국관광공사는 지금까지 11종 3만5000건의 관광정보를 개방했다. 이를 활용해 올해만 70개의 IT서비스가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개발된 서비스는 총 160개에 달한다. 데이트 코스를 가르쳐주는 서울데이트팝, 전화번호·길을 알려주는 후후114, 캠핑장 정보와 예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캠프촌 등이 대표 사례로 꼽힌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오픈API를 바탕으로 박스오피스 등 영화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영화 업계에 데이터베이스(DB)를 제공해 영화산업의 정보 신뢰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네이버·다음 등 포털업체도 영진위 DB를 바탕으로 영화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통문양은 활용이 꾸준히 이뤄지는 대표적인 문화데이터다. 한국문화정보센터는 ‘한국적 산업 활용 디자인 DB 구축’ 사업으로 기존 전통문양 원형 DB를 손쉽게 재사용·편집할 수 있도록 개선해 민간 활용을 촉진하고 있다. 국내 중소업체 제이손은 전통문양 DB를 젓가락·숟가락 등에 적용해 작년 매출이 전년 대비 20% 이상 늘었다. 연필·연하장과 같은 제품을 비롯해 애니메이션, 캐릭터, 교육 사업 등에 적용해 큰 부가가치를 창출했다.

문화부 관계자는 “기존 발굴된 사례보다 민간 등에서 활용한 사례는 훨씬 많을 것”이라며 “새해에는 구체 실적을 집계해 성공사례를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