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함정기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회장

“내가 가진 소신을 발휘할 수 있는 자리에 앉았기 때문에 처음 회장에 취임해서 2~3개월이 가장 행복했습니다. 3년 가까이 정신없이 바쁘게 지냈는데 무거운 짐을 내려놓을 때가 되니 그동안의 보람이 떠올라 다시금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사람]함정기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회장

다음달 3년간의 회장직에서 물러나는 함정기 정보통신공사협회장은 소회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돌이켜보면 정신없는 나날이었다. 함 회장은 40여년을 정보통신공사업에 몸담아온 이 분야 전문가다. 하지만 8000여 회원사를 이끄는 회장으로서 해야 할 일은 도전사항의 연속이었다.

취임 첫 해인 2012년엔 공중선 사용료가 이슈였다. 기간통신사업자와 케이블TV 사업자가 사용하는 전봇대와 공중 전선에 대한 사용료(점령료)를 부과하겠다는 게 정부 방침이었다. 함 회장은 국가에 사용료를 내는 대신 사업자와 지자체가 협력해 공중선을 지중화하는 방안을 건의했다.

함 회장은 “공중선을 지중화하면서 정비도 하고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결국 5개년 계획이 수립돼 20개 시도에서 공중선 지중화 사업 추진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해 실적공사비 적산제가 유예되도록 하는 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기존 공사비를 근거로 신규 사업 공사비를 산출하는 실적공사비가 적용되면 정보통신공사업계의 수익성이 저하될 것으로 우려됐다. 지속적으로 정부에 건의해 결국 2015년까지 유예가 될 수 있었다.

입찰제도 개선에도 힘썼다. 분리발주가 되지 않고 타 업종에 포함돼 발주되는 사업을 정보통신공사업으로 발주되도록 개선 활동을 추진했다. 그 결과 지난해 회원사 수주 물량 규모가 5400억원 늘어나는 효과를 거뒀다.

함 회장은 “2013년 국군재정관리단과 협력관계를 맺으면서 군 통신공사 물량을 두 배 이상으로 늘릴 수 있었다”며 “지난해 미래부와 함께 정보통신공사업의 근본적 체질개선을 위한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했던 것도 기억에 남는 일 중 하나”라고 말했다.

1971년 ‘전신전화설비공사업법(현 정보통신공사업법)’이 제정된 이후 정보통신공사업은 외형적으로 많은 발전을 해왔다. 하지만 여전히 상당수 업체가 영세 업체로 건설경기 불황과 맞물려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익성을 높여 회원사들이 내실 있는 업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향후 협회가 해야 할 최우선 과제다.

함 회장은 “협회 회원사들이 단결하고 지금까지 협회가 해오던 일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정보통신공사 업계가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에서도 관심의 끈을 놓지 말고 지속적으로 정책적인 지원을 해주길 바란다”는 소망을 밝혔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