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개천에서 용 나기

정용철 (jungyc@etnews.com)

이철희 분당서울대병원장
이철희 분당서울대병원장

지난 6월 활동량 측정기 업체 핏빗(fitbit)이 웨어러블 전문 제조사 최초로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됐다. 시가총액만도 7조원에 달했다. 웬만한 국내 대기업 시가총액과 맞먹는다.

혁신을 꿈꾸는 신생벤처기업(스타트업)에 실리콘밸리가 있는 미국은 현세의 천국이다. 다양성을 포용하는 곳이자 실패가 부끄럽지 않다. 사회적 자본이 부족한 신생기업이 전문 벤처 캐피털에서 투자를 받을 기회가 있다.

중국은 또 어떤가. 리커창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가 ‘대중의 창업, 만인의 혁신’이란 기치를 내걸었다. 각종 규제 개선책을 내세워 ‘제2의 알리바바’ ‘제2의 샤오미’가 나올 수 있도록 창업을 지원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0년 전 R&D 투자규모 10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기업이 단 두 곳이었다. 올해는 46개 기업으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중국 내에서 291만개 창업이 이뤄졌다니 놀랍고 부러울 따름이다.

이웃나라 개천에서는 수많은 용이 나왔거나 나올 준비가 됐다. 우리 개천은 왜 이렇게 고요할까. 우리나라는 일찌감치 클라우드 기반 글로벌 PHR 시스템 구축 역량을 갖췄다. 환자 의료정보가 클라우드에 저장될 수 없다는 국내 의료법에 막혀 시행되지 못한다. 똑같이 개인정보에 민감하지 않을 리 없는 미국 헬스케어 기관 84%가 이미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그야말로 딴 세상 이야기다.

헬스케어가 명실상부하게 차세대 성장동력 반열에 오르려면 자본 조달이 필수다. 중심 역할을 해야 하는 병원은 자본 축적이 불가능한 결정적 한계를 갖고 있다. 외국인 환자 유치나 몇몇 병원 시스템 수출을 가지고는 해당 의료기관 경영상황에 도움이 될 뿐, 국민을 위한 차세대 먹거리 창출까지는 언감생심이다.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자본을 외부에서 조달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됐다.

희망의 싹은 보인다. 지금까지 3년 연속 참가하는 국내 한 언론사 헬스케어포럼에서 나는 해마다 다른 변화를 느낀다. 3년 전 청중 대부분은 투자자였다.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지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그 이듬해는 스타트업을 시작해도 되는지의 질문으로 바뀌었다. 올해는 이미 스타트업을 시작해서 제품까지 이미 나와 있는 관계자 질문이 쏟아졌다. 앞서 언급한 막막한 상황을 감안하면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아기 용도 보았다. 건강관리 앱 눔(NOOM)의 정세주 대표다. 1980년생인 그 역시 두 번의 실패를 딛고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솔루션을 만드는 회사를 창립했다. 미국 대형 보험회사와 파일럿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미국 본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독일까지 진출했다.

기존 산학연도 나름 노력한다. 지난 11월 서울대는 개교 이래 처음으로 중견기업인을 초청해 자체개발 기술매칭 콘퍼런스를 가졌다. 공대 건물 일부를 중견·중소기업에 내주는 계획을 세웠다. 대학 연구 결과물이 사업화로 발전하는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서다.

분당서울대병원도 올해 초 LH공사 본사 부지를 인수해 헬스케어혁신파크(Healthcare Innovation Park)를 만들었다. 국내 최초 병원 주도로 의료기기 연구개발센터 전용 공간을 마련해 다양한 벤처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한다. 의료현장 경험이 제품으로 연계되는 미래의학 창조의 인큐베이터 역할도 수행한다.

미래 세대를 위한 이 같은 노력에 한시 바삐 법과 제도가 정비돼야 한다. 올바른 방향이라면 빠르게 혁신을 실행하는 공동체만이 살아남는 세상이다.

이철희 분당서울대병원장 00708@snub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