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과학자]김채운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영하 150℃에서 얼지 않는 물` 입증 화제

김채운 UNIST 교수
김채운 UNIST 교수

지난해 9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실렸다. 영하 150℃에서 얼지 않는 물을 실험으로 입증한 연구다.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 발견`으로 화제를 모았다.

이 연구 성과의 주인공은 김채운 UNIST 자연과학부 교수(39)다.

김 교수는 고압 냉각 기술을 이용해 영하 150℃에서 물을 액체 상태로 만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물은 간단한 분자로 이뤄져 있지만 물리적 특성은 매우 복잡하다. 물이 어는점 이하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할 때 이를 `과냉각` 상태라 한다. 이때 물의 물리적 특성은 보통 액체와 다르다. 과학계는 이러한 현상을 물 내부 구조가 고밀도와 저밀도 상태를 급격히 반복해 변하면서 생긴 결과라 추정해왔다. 20년 동안 가설 수준에 머물던 현상을 김 교수는 과학적 실험으로 확인했다.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주제를 찾아 연구한다는 김채운 UNIST 교수.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주제를 찾아 연구한다는 김채운 UNIST 교수.

나노 크기에서 순간적이고 빠른 움직임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웠던 `인체 단백질 작동 원리`를 규명한 것도 김 교수의 대표적 연구 성과다.

이 같은 연구 성과의 배경에는 고압 상태에서 분자 구조를 손상 없이 냉각하는 `고압 냉각 기술`이 자리잡고 있다. 그는 “처음에는 고도의 압력을 가했을 때 단백질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고자 `고압 냉각 방법`을 고안했다. 지금은 단백질 작동 원리를 넘어 물 상태 분석, 물과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한 발 더 나아가 지난 4월 생체 단백질 중 하나인 `탄산탈수효소` 구조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수준까지 끌어 올렸다.

탄산탈수효소는 인체 내 이산화탄소를 물에 녹이는 촉매 기능의 단백질이다. 세포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혈액에 녹여 폐까지 전달하거나 혈액의 산성도를 조절하는 등 생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촉매작용 속도가 워낙 빨라 그 작동 원리를 규명하는 일이 어려웠다.

그는 “이 단백질이 실제 작용하는 모습을 원자 수준의 고해상도로 포착해 단백질 기능 이상 등 여러 원인을 파악했다”며 “신약 개발은 물론이고 기후변화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로도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과학자]김채운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영하 150℃에서 얼지 않는 물` 입증 화제

김 교수 연구는 특정 분야나 주제에 국한하지 않고 흥미로운 주제를 찾아 유연성 있게 진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는 “영하 150℃에서도 얼지 않는 물 연구는 내가 원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라 선택했다.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스스로 즐겁고 자부심을 느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물리, 화학, 생물 등 학제 간 접점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많은 새로운 현상이 숨겨져 있다”며 “의공학 분야와 물성 물리 분야로 영역을 넓혀 흥미로운 현상을 찾아 계속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