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5주년 특별기획]해외에서 바라본 韓 강점은 '역동성·기술'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해외에서 바라본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은 '역동성'과 '기술'로 압축된다. 정부의 높은 관심과 정책 지원 의지도 강점으로 꼽힌다. 다만 높은 규제 수준은 반드시 개선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해외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은 한국을 '역동하는 나라'로 인식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새로운 기술 개발·적용에 적극이고, 국민 역시 이를 능동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이런 성향이 4차 산업혁명 대응 원동력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ICT 분야 컨설팅을 수행하는 오너스솔루션스의 한동협 대표는 “한국인은 새로운 기술에 흥미가 높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기술을 흡수하는 능력도 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한국은 세계 시장의 테스트베드가 될 정도로 트렌드에 밝다”면서 “4차 산업혁명 대비 측면에서 한국에 있는 가장 큰 강점 가운데 하나”라고 강조했다.

인터넷 환경이 우수한 사실도 장점으로 꼽힌다.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서비스는 결국 원활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인터넷 환경은 최고의 장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일본 기업 유센의 핫토리 히로히사 상무집행이사 겸 경영계획실장은 “한국은 어디든 인터넷 연결이 잘돼 있는 게 4차 산업혁명 대응에 강점”이라면서 “이에 비해 일본의 일반 소규모 가게는 절반 정도만 인터넷 환경이 갖춰진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보다 인터넷 환경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는 일본도 한국과 비교해서는 무선인터넷 보급·확산이 더딘 편이다. 주요 공공장소는 물론 일반 서민 가게도 대부분 무료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대도시와 주요 건물 중심으로 무선인터넷 이용 환경을 갖췄다.

일본 ICT 기업 관계자는 “도쿄 등 주요 도시는 무선인터넷 환경이 발달한 편”이라면서도 “그러나 도심에서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도 여건은 크게 달라진다”고 전했다.

우리나라 정부의 강력한 4차 산업혁명 대응 의지도 강점으로 거론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설치, 범부처 차원의 대응 체계 구축 등 최근의 정책 노력은 해외에서도 눈에 띌 정도로 적극 움직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규제 완화 부문은 다소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한국 정부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은 규제 개혁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내 ICT 기업 관계자는 “해외 기업인과 대화하다 보면 한국의 규제 수준이 상당히 높고, 실제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된다는 사실에 놀란다”면서 “개인 정보 유출 등은 어느 나라든 민감한 이슈여서 조심해야 할 부분이 많지만 다른 부분은 파격으로 규제를 풀어서 기업 활동을 격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 정영일기자 wjddud@next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