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술과 프린팅의 융합'...인공장기 '바이오 프린팅' 특허출원 급증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3D 프린팅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해서 인공 장기를 제작하는 '바이오(Bio) 프린팅'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13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2007~2016년) 동안 총 122건의 바이오 프린팅 관련 기술이 출원된 가운데 전체의 80%에 해당하는 97건이 최근 3년(2014~2016년) 동안 집중 출원됐다.

연도별로 2007~2013년에는 10건 이하에 머물렀지만 2014년 16건, 2015년 31건, 2016년 50건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는 국내에서 장기 기증 수요에 비해 기증자 부족과 면역 거부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기존 장기 이식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바이오 프린팅이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해외 연구기관과 기업이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인공 혈관·간·귀·피부 등 제작에 성공,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출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대표 사례로 미국 바이오벤처 오가노보는 약물 독성 검사를 위한 간 조직을 3D로 프린팅, 신약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상 시험 비용과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켰다.

또 중국 쓰촨 레보텍은 지난해 원숭이 지방층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 혈관을 3D 프린팅 한 후 원숭이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 프린팅은 잉크젯프린터의 잉크 입자 크기가 사람 세포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착안한 기술 개념이다. 3D 프린팅과 제조 방법은 같지만 살아 있는 세포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잉크를 원료로 사용해 신체 조직과 장기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기존 3D 프린팅이 치과 보철, 의족, 의수 등 신체를 지지하는 인공 보철물 제작에 그쳤다면 바이오 프린팅은 줄기 세포를 이용해 혈관·안구·간·심장 등 체내 이식물까지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것으로 전망된다.

유형별 출원건수는 내국인이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기관별로는 대학·공공연구기관이 57건으로 전체의 4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하지만, 대량의 특허를 출원한 기관은 없고 다수 기관이 소량의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분석됐다.

포항공과대가 9건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 7건, 한국기계연구원 6건, 고려대 4건 등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출원 비중은 18.1%였고, 개인과 공공기관은 각각 16.1%와 14.1%로 나타났다.

기술 분야별로는 바이오 프린팅 장치 및 소재에 대한 출원과 뼈 지지체, 두개골, 안구 등 체내 이식물에 대한 출원이 최근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정윤 특허청 의료기술심사팀장은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 장기 제작은 현재 장기 기증 시장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의 혁신 기술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