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핫이슈]새해, 평창, ICT

새해가 성큼 다가왔다. 2018년 최대 이벤트인 평창 동계올림픽도 50여일 남짓 남았다. 평창 올림픽은 대한민국 정보통신기술(ICT)을 세계에 알리는 무대이기도 하다. 정부도 이번 올림픽을 '평창 ICT 올림픽'으로 규정하고 '붐업'에 나섰다. 인천국제공항과 평창 현지에 ICT 체험관을 설치, 국민과 관광객이 미래 기술 향연을 만끽하도록 했다. 올림픽 무대에 오를 국가대표 미래 기술을 미리 꼽아본다.

[과학 핫이슈]새해, 평창, ICT

평창올림픽 기간 5세대(G) 이동통신이 첫 선을 보인다. 정부는 5G 통신을 평창 올림픽 기간 시범 운영하고 2019년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5G는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보다 속도가 25배 가량(초당 20Gbps) 빠르다. 고화질 가상현실(VR) 영상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고, 끊김이 없다. 1㎢서 100만대 이상 기기를 망에 연결할 수 있다.

통신은 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라는 점에서 선점 효과가 기대된다. 자율주행자동차, 원격 제어 스마트 팩토리 등을 구현하는 데 5G 통신이 필요하다. KT는 평창에서 5G 테스트를 시작했다. 정부는 28㎓ 대역 시범 주파수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전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5G 통신은 어느 때보다 생생한 경기 중계에 활용될 전망이다. 선수 시점의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 전송한다. 경기 중 시청자가 원하는 시점의 영상, 정보를 볼 수 있다. VR 전용 카메라로 촬영한 360도 영상도 제공된다.

대회 기간 평창 일대에서 운행하는 '5G 버스'는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버스다. 현대자동차는 자율주행 버스 외에도 차세대 수소연료전지차(FCEV)를 선보여 친환경차 기술을 과시한다. 자율주행차 운영에는 5G 통신과 10㎝ 오차의 고정밀 지도, 차량 제어 등 첨단 기술이 총동원된다.

강릉 경포대와 가까운 월화거리에 설치되는 '사물인터넷(IoT) 스트리트'도 참신한 놀거리, 볼거리를 제공한다. 증강현실(AR)로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다. 'IoT 파노라마'가 거리 전체를 미리 보여주고, '스마트 미디어월'이 주요 행사를 안내한다. 관광객은 스마트폰으로 '힐링 체어' 색깔과 음악을 바꿀 수 있다. 거리 곳곳의 '기가 셀피'는 스마트폰으로는 담을 수 없는 광각 사진을 촬영해준다.

다양한 국가의 선수와 관람객이 모이는 만큼 언어 장벽 해소도 필요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원천기술을 개발한 '지니톡'이 공식 통·번역 앱으로 활용된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독일어, 아랍어 9개 언어에 대한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29개 언어를 중개한다.

단어가 아닌 문장 전체의 문맥과 어순을 고려한 통·번역이 특징이다. 이른바 '인공신경만 번역(NMT)' 기술 덕분이다. 머신러닝 방식으로 번역 품질을 계속 개선한다. 평창 동계올림픽 공식 앱으로 선정되면서 스포츠 전문용어와 선수 이름 등 특화 데이터·단어·문장을 반영했다.

강원도 평창에 문을 여는 'ICT 체험관'에 가면 새로ㅜㄴ 기술을 미리 만날 수 있다.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편리한 사물인터넷, 감동의 초고화질(UHD) 방송, 즐거운 가상현실(VR) 기술 등 5대 ICT 서비스를 전시했다.

체험관 초입의 초대형 디스플레이가 평창올림픽에 선보일 첨단 기술을 안내한다. '익사이팅 존'에서는 VR을 통해 봅슬레이와 스노보드 등 동계 스포츠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체험관 내 수족관에는 관상어 로봇이 헤엄친다. 관람객은 로봇과 함께 아이스하키 게임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정부와 민간이 평창 동계올림픽에 주목하는 것은 역사적으로도 올림픽이 첨단 기술 경연장이었기 때문이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은 처음으로 흑백 TV 중계가 이뤄진 경기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은 유투브로 생중계돼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적극 활용한 '양방향 올림픽'을 지향했다.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 올림픽(하계) 이후 30여 년 만에 올림픽을 개최한다. 그 동안 경제 발전을 이뤘다. ICT 산업도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 ICT 강국 대열에 올랐다. 우리나라는 평창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4차 산업혁명 주도권을 쥔다는 목표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