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블록체인이 만드는 투명한 신뢰사회

[월요논단]블록체인이 만드는 투명한 신뢰사회

새해 벽두부터 비트코인 논란이 뜨겁다. 논란 차원을 넘어 세대와 계층 간 갈등의 문제로 골이 심화하는 느낌이다. 비트코인 등 암호통화 혼란을 지켜보면서 걱정이 앞선다.

암호통화는 세상을 바꿀 거대한 플랫폼인 블록체인 기술의 꽃에 해당한다. 정보통신기술(ICT)강국인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블록체인과 암호통화 정책의 경우 불법 행위는 최대한 억제하고 기술 발전과 새로운 사업 기회는 최대한 확장하는 방향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투기냐 투자냐 논란 이전에 암호통화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블록체인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한 직장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모두 하나의 원장(ledger)에 거래 내역을 빈틈없이 이어서 쓴 후 매일 장부를 복사해서 가진다고 생각해 보자.

구매, 임금, 투자, 세금 등 기업 활동을 위해 사용한 모든 거래가 기록돼 있는 것이다. 이 원장의 전체 거래 내역을 모두가 볼 수 있지만 각각 거래 내역의 세부 내용은 무엇인지 모르고, 어느 누구도 거래 내역을 바꿀 수 없다. 만약 변경하려면 새로운 거래가 기록되기 전에 복사된 모든 장부의 거래 내역을 바꿔야 되는데 현실상 이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렇게 관계된 모든 사람이 공통의 장부를 갖고 계속해서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함부로 변경할 수 없도록 공학 관계로 구현한 대안이 '블록체인'이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의 공개성, 이중 지불 방지, 불가역성이라는 기술 특성 때문에 투명성·익명성·보안성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서로를 믿지 못해서 존재하는 다양한 대의 기관이나 대리 시스템 운영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을 최소화시킬 가능성을 열어 준다. 단순히 거래 증명에서 끝나지 않고 인증과 증명의 기능까지도 내재하고 있다. 식별할 수 없는 계정 처리를 통해 익명성도 동시에 보장한다. 그리고 공동의 노력으로 투명성과 익명성을 보장해 주는 블록체인의 특성 때문에 전 세계에 걸쳐 활용이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통화 영역은 시작에 불과하다. 전자투표, 신분증 및 졸업장 발급, 식용 재료 유통, 저작권 보호, 공문서 관리 등 보안 및 안전을 요하는 분야를 포함해 상거래 응용 등 경제 주체들이 모든 활동 영역에 거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속도 경쟁이 더해 가고 있다.

예를 들면 에스토니아는 전 세계인 대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e-주민'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스위스는 크립토 밸리(Crypto Valley)를 조성해 블록체인 기업을 장려하고, 일부 암호통화를 사용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는 2030년까지 기존의 스마트시티를 블록체인 도시 구축으로 전환하고, 중국은 항저우 지역을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블록체인 도시로 선언했다. 모두가 블록체인이 열어 줄 미래 가치에 일찍 눈을 뜨고 발 빠르게 블록체인 생태계의 선점을 노리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인류 역사상 유래 없는 거대한 실험을 함께하도록 강요받고 있다. 지구가 하나의 시장으로 거듭나는 초연결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론 시험이다. 초연결 세상에서 중앙 기관 없이 '신뢰'를 어떻게 구축해 나가고, 또 거짓을 어떻게 몰아낼 것인가 하는 것은 인간의 지성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최고 대안으로 블록체인이 탄생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사람 몸으로 비유하면 줄기세포에 해당한다. 줄기세포는 다양한 신체 기관을 만들어 낸다. 블록체인도 투명하고 신뢰를 보장해 주는 플랫폼,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앱), 인터페이스 등을 잉태해 내는 무한 가능성의 보고다. 그 끝에 투명한 신뢰 사회가 기다리고 있다.

이상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shlee@et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