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남북정상회담]8.15 73번째 광복절 맞아 1025일만에 이산가족 상봉

<한국공동사진기자단>
<한국공동사진기자단>

8월 15일 73번째 광복절을 맞아 2015년 이후 1025일 만에 스물한번째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다.

4.27 판문점 선언문에는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2000년·2007년 남북공동회담에 이어 다가오는 광복절에 이산가족·친척 상봉을 진행하겠다는 인도적 지원에 관한 구체적 내용이 담겼다. 그간 남북정상회담의 주요 주제로 빠짐없이 다뤄졌던 이산가족·친척 상봉에 대한 내용이 이번 회담에도 담겼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7일 “남과 북은 민족 분단으로 발생된 인도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며, 남북적십자회담을 개최해 이산가족·친척상봉을 비롯한 제반 문제들을 협의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며 “당면하여 오는 8·15 광복절을 계기로 이산가족·친척상봉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산가족·친척 상봉은 그간 이뤄진 모든 남북정상회담에서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당초 회담 이전까지만해도 북핵 문제가 아닌 다른 주제는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산가족 상봉이 더욱 의미있는 이유는 이산가족 1세대의 상봉 가능 시기가 사실상 이번 정부가 마지막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봉 기회를 얻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이 매년 늘고 있다. 남북 관계의 지속발전을 위한 민족 동질성 회복 기회의 전기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통일부 및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총 13만1500여명에 이르는 이산가족 가운데 생존자는 5만7900명에 불과하다. 2016년을 기점으로 누적 사망률이 50%를 넘어섰다.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상시화도 기대해 볼 수 있다.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활성화해 생사 확인 등 상시 정보교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등 과거와는 달라진 세부 대책이 요구된다.

이산가족 상봉을 제외한 여타 인도적 지원에 대한 언급은 이번 선언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개성지역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고 아시아경기대회 공동 출전, 각계각층의 다방면적인 협력 등의 내용을 담은 만큼 보건의료를 비롯해 우선복지, 사회인프라 지원 등 민간 차원의 인도적 지원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