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IoT 사업 적자 고착화

[기자수첩]IoT 사업 적자 고착화

“사물인터넷(IoT)으로 수익 내는 회사가 없습니다. 갈수록 '적자' 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움직임 감지 센서와 IoT 플랫폼 개발 A사 임원은 IoT 사업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며 하소연했다. 공공기관에 IoT 제품을 납품했지만 앞으로 IoT 사업을 중단해야 할 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A사 적자 원인은 수요처 '예정 가격'이다. 공공기관이 IoT 사업 발주 예정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책정한다는 것이다. 공공기관 등 수요처가 예정 가격을 낮게 책정, IoT 기업이 수주를 하더라도 적자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유사 사업을 참고로 예정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도 IoT 기업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한 IoT 사업 낙찰 금액이 예정 가격 80%로 확정되면 다른 수요처가 80% 수준 금액을 참고로 예정 가격을 정한다. 최저가 경쟁으로 IoT 사업 낙찰 금액이 계속 낮아지는 걸 감안하면 예정 가격도 지속해서 낮아질 수밖에 없다. 악순환 반복이다.

IoT 기업은 제품 생산 단가를 낮춰 예정 가격을 맞추려 애쓰지만 수익성 확보는 어렵다. 예산 절감을 지상 과제로 여기는 공공기관이 IoT 사업의 저수익 구조 고착화를 강요하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IoT가 4차 산업혁명 핵심이란 말이 무색하다. 이윤을 남겨 신기술 개발 등 투자에 나서야 할 IoT 기업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기업이 저가 부품을 쓰거나 인건비를 줄여 예정 가격을 맞추다 보면 IoT 품질 저하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시장에서 이러한 IoT 서비스를 반길 리 없다. 경쟁력 약화로 많은 IoT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 중소기업을 배제하는 IoT 생태계로는 4차 산업혁명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공공 IoT 사업 적정한 예산 확보와 합리 예정 가격 설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