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1년 예산 60조…17개 지역 교육감은 누가 될까

자립형사립고·외고 지정·폐지, 교장공모제, 무상교육....

교육감 선거에 따라 지역별로 달라질 수 있는 정책이다. 교육감 선거에 대해 관심은 지자체장 선거보다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유·초·중등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 선거 결과에 따라 많은 정책이 달라질 수 있다. 전국 시·도교육감은 총 60조원이 넘는 예산을 집행하는 권한을 갖고 있어 '소통령'으로도 불릴 정도다.

우리 헌법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규정하고 있어, 정당은 교육감 선거에 관여할 수 없다. 정당이나 기호를 먼저 보는 다른 여타 선거와 달리 교육감 선거는 인물과 정책만으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정당과 무관한 교육감선거의 투표용지는 다른 선거와 달리 기호와 정당명이 없이 후보자 성명과 기표란을 가로로 배열한다. 순번이 없는 만큼 A형, B형, C형 등으로 나눠 후보명 배열을 투표소마다 다르게 한다. 유권자는 기표 때 주의해야 한다.

교육감 선거 투표 용지. 출처=중앙선관위
교육감 선거 투표 용지. 출처=중앙선관위

정당을 나타낼 수 없다보니 '진보' '중도' '보수' 등으로 자신의 색깔을 표현한다. 민선 3기 교육감 선거에서도 진보 vs 보수의 싸움으로 양상이 굳어졌다. 자사고·외고 폐지, 교장공모제 등은 이번 선거에서 진보와 보수를 나누는 대표적 정책이다. 올 해는 ICT 인프라, 메이커 교육, 인공지능 시스템 구축 등 ICT 관련 공약도 눈길을 끌었다.

전국 17개 시·도에서는 59명의 후보들이 최종까지 레이스를 달리고 있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