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자정부, 한 번 더 도약하자

오는 24일은 '전자정부의 날'이다. 지난해 전자정부법 개정으로 기념일에 지정됐다. 올해가 첫 기념일이다. 전 세계를 통틀어 기념일로 제정한 건 우리나라뿐이다. 1967년 6월 24일은 인구통계 처리용으로 도입한 컴퓨터로 행정 업무를 처리한 날을 상징한다. 20일 정부는 서울 광화문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 압권은 영국, 캐나다 등이 참여한 전자정부 선도 국가 협력체 'D7(디지털 7)' 회원 국가들이 보내온 영상 축하 메시지였다.

전자정부는 정보화 강국 대한민국을 가장 잘 보여 주는 대표 상품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구축한 초고속 국가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주민, 자동차, 부동산, 인허가 등 국민 생활과 기업 활동에 필요한 행정 서비스를 스마트폰·PC 등 온라인으로 구현했다. 2010년 세계 1위에 오른 후 유엔 전자정부 평가 3회 연속 1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2회 연속 1위를 차지했다. 50여개 국가, 4개 국제기구와 협약을 체결하는 등 '행정 한류'를 주도했다. 70여개 나라에 수출하는 성과도 올렸다. 134개국 4500여명이 전자정부 시스템을 배워 갔다.

여기에 그쳐서는 안 된다. 전자정부를 주도한 데는 앞선 인프라와 기술이 크게 기여했다. 급변하는 IT 환경에 잘 적응했기 때문이다. 전자정부가 탄력을 받기 위해서는 정부 의지도 중요하지만 IT 흐름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 전산실에 서버와 스토리지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SW를 개발하던 게 과거가 됐다. 클라우드 기술 덕분이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떠오르면서 데이터 저장과 보호뿐만 아니라 활용도 중요해졌다. 데이터 분석으로 기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가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전자정부를 AI와 빅데이터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전체가 아닌 개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서비스도 정교해져야 한다. 기존 시스템과 IT 환경이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 맞춰 진화해야 한다. 세계 1위 전자정부도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 뒤처지지 않는 방법은 끊임없는 변화 시도와 긴장감으로 무장하는 것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