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헬스케어 AI 시대, 정부 역할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인공지능(AI)이 화두다. 국민은 AI가 의료 서비스 수준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 AI가 의료영상 판독, 질병 예측 등 일부 영역은 사람 의사보다 정확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도 분주해졌다.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연구개발(R&D) 과제를 쏟아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각종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해 질병 예측과 신약 개발 등을 지원한다. 심지어 AI 기반 서비스 제공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계는 불만이다. 정부가 AI 기술 개발에 나서면서 민간 시장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헬스케어 AI 기술이 전무하거나 큰 비용이 든다면 정부가 나서야 한다. 그러나 AI에서 알고리즘 개발은 어렵지 않다. 대학, 병원, 기업 등 다양한 곳에서 헬스케어 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정부는 AI를 개발하기보다 민간이 개발하도록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한다. AI 핵심은 '데이터'다. 국내 제약사와 바이오기업 가운데 R&D, 임상시험, 상업화까지 전 주기 데이터 체계를 갖춰서 수집·활용·관리하는 곳은 전무하다. 전담 부서조차 없는 상황에서 연구자 개인이 액셀 파일로 정리하는 게 대부분이다. 정부는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하도록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데이터 활용 기반도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정부가 AI를 개발해도 무용지물이다.

먼저 제약, 바이오 기업이 데이터를 체계화해서 수집할 데이터베이스(DB)와 공유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 데이터 활용 컨설팅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다양한 알고리즘을 선택해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데이터 중요성을 꾸준히 알리는 것도 기본이다.

정용철 SW융합산업부 기자
정용철 SW융합산업부 기자

화이자, 로슈 등 글로벌 제약사는 IBM 등 IT 기업과 협업해 AI를 신약 개발에 적용한다. 국내 기업은 걸음마 단계다. 데이터 활용이 부족한 국내 제약사와 바이오 기업 대상 AI 적용은 아직까지 먼 이야기다. 정부는 민간 기업이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한다. 사회 합의가 필요하다. 그 후 솔루션 개발은 시장에 맡기는 게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된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