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 금융규제-법률 정보 자동 인식한다..."핀테크 넘어 레그테크, 섭테크로"

금융사 IT시스템이 금융 관련 법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머신 리더블 레귤레이션(MRR)' 체계가 아시아 최초로 도입된다.

감독당국도 민간 빅데이터 연구소와 협력해 금융감독 업무를 자동화한다.

금융업권 전반에 불고 있는 핀테크 혁신을 넘어 각종 규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레그테크(Regtech)와 섭테크(Suptech) 생태계가 마련될 전망이다. 레그테크와 섭테크는 각각 규제(Regulation), 금융감독(Supervis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금융감독원은 10일 서울 마포구 서울창업허브 별관에서 핀테크 타운홀 미팅 '핀톡(FinTalk)'을 열고 레그테크 및 섭테크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총 70여개 핀테크기업과 금융회사의 임직원 120명이 참석해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한 각계 의견을 전달했다.

금감원은 우선 의견수렴에 앞서 MRR 시범사업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MRR는 금융 관련 법규를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화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규제와 기술의 합성어인 레그테크의 핵심으로 꼽히는 분야다.

실제 최근 금융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 등으로 인해 준법감시 비용은 급증세다. KPMG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레그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13억7000만달러로 2015년말 대비 5억달러 가량 증가했다.

금감원은 우선 전자금융거래법 상 업무보고서 규정을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기로 했다. 이후 타 규정과 관련 법규로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웹 온톨로지(OWL), 자연어처리(NLP) 기술 등 고도의 IT 기술을 융합해 추진할 방침이다.

MRR 시범사업 종료 이후에는 MRR 기능이 탑재된 표준 API를 금융회사에 제공하기로 했다. API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직접 추출해 업무보고서를 자동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레그테크 스타트업은 MRR 기능을 탑재한 표준 API를 기반으로 창업 아이템에 이용하거나 서비스 고도화에 활용해 혁신 성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감독업무에 직접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감독 능력 배양을 위해 감독과 기술을 융합한 이른바 섭테크 도입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우선 인공지능 기반 약관 심사 시스템과 금융감독 챗봇을 시범 구축한다. 전자금융사기 방지를 위한 알고리즘도 개발한다. 올해 중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 이후 내년 중 실제 업무 적용이 목표다. 또 금감원은 금융 빅데이터의 섭테크 적용을 위해 KT와 기술 및 인력 분야에서 협력한다.

윤 원장은 “21세기 정보화 물결을 경제 도약 발판으로 삼았던 것처럼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우리 금융산업을 핀테크를 성장 동력으로 삼아 혁신성장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며 “핀테크, 레그테크, 섭테크로 이어지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업권에서도 금감원 행보를 반기는 분위기다. 실제 금융투자업계 디지털혁신협의회(CDO)는 이미 자체적으로 자본시장 규제 관련 업무에 MRR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

협의회 관계자는 “호주에 이어 아시아 최초로 MRR 도입을 실시한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라며 “레그테크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