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과기계, "연구윤리 새틀짜고 정착시켜야"

연구 윤리 논란 앞에 선 과학기술계는 '연구 윤리 재정립과 안착'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연구 자율성, 창의성을 지키면서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선 자정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12일 연 '연구윤리 재정립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과기계는 '자정'과 '쇄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명자 과총 회장은 “연구윤리 정착을 위해서는 학회의 자구적 노력과 적극적인 참여가 열쇠”라면서 “달라진 시대 배경에서 연구윤리를 어떻게 보고 개선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동시에 연구개발 활동이 창의성과 자율성을 기반으로 이뤄지게 할 것인가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내년 학술활동지원사업 기준에 윤리 관련 항목을 적정하게 반영하는 등 제도를 보완할 계획” 라고 말했다.

황은성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는 “논문 데이터 조작 등 새 유형 윤리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학회의 연구진실성 중심잡기 기능이 부실화됐다”면서 “여전히 국민과 정부가 과학자를 믿고 지원하길 원하는 만큼 연구교육을 통해 연구자 기본 체력을 강화하고, 기관 내 연구진실성 진작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연구개발분석단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연구윤리 제도는 2005년 황우석 사태라는 외부 충격에 의해 갑자기 마련됐다”면서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이나 문화가 자리 잡히기 이전에 급작스럽게 연구 윤리가 주입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 윤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구조적이고 조직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지선 로앤사이언스 변호사는 “과기부, 교육부, 산업부 등 각 부처 연구 관련 제도, 규정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규정을 연구 윤리의 근간으로 삼을지 애매하다”면서 “연구 윤리 관련 규정 체계를 가다듬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호 산업정책부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