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초연결 사회…장애인은 열외

[기자수첩]초연결 사회…장애인은 열외

초연결사회는 사람과 사물, 기기가 지체 없이 연결되는 사회를 이른다. 우리나라는 초연결사회 인프라 기술 5세대(5G) 이동통신망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5G 기반 상용 서비스가 앞 다퉈 출격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잔칫상에 장애인을 위한 초대장은 발송되지 않았다. 오히려 일반인과 정보 격차만 더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장애인 지식 욕구를 충족시켜 줄 정보기술(IT) 발전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시중에 전자책이 넘쳐나지만 그 가운데 시각장애인이 읽을 수 있는 책은 1%도 안 된다. 전자책 대체 자료 전환 비율이 현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대체 자료는 각종 책자를 음성과 점자로 변환시킨 장애인용 도서를 말한다.

대체 자료에 접근하기도 어렵다. 온라인에서 책을 빌리려면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때 팩스로 장애인 복지카드나 증명서 사본을 보내야 한다. 집에 팩스가 없다면 휠체어를 타고 도서관에 직접 찾아가야 한다. 보건복지부가 보유한 장애인 데이터베이스(DB)에 일선 도서관이 연결돼 있지 않다 보니 벌어진 불편함이다.

국립장애인도서관이 이 일을 대신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연동 작업을 통해 장애인 DB를 쓸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대다수 도서관은 도입에 소극성을 보인다. 국립장애인도서관에 따르면 전국에 공공도서관 수만 1020곳에 이른다. 사립·대학 도서관까지 포함하면 5000여곳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불과 13곳만 장애인 DB를 활용하고 있다.

복지부가 한 해 배정받는 장애인 지원 예산은 2조원 안팎이다. 기초생활수급, 재활, 의료 분야에 90% 가까이 쓴다. 예산 대부분이 복지 부문에 몰려 있다. 자립을 위한 정보 접근성 교육, 콘텐츠 확보 예산은 턱없이 모자란다. 독립된 지원 기관조차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산하 국립장애인도서관이 그나마 독자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50억원에도 못 미치는 1년 치 예산으로 전국 사업을 진행하는 게 쉽지 않다.

온 나라가 초연결사회 진입을 자축하는 분위기다. 이런 때일수록 장애인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사각지대를 돌아봐야 한다. IT 혜택이 골고루 퍼져 장애인 자립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정부만의 숙제가 아니다. 기업도 사회공헌 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일 때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