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적시 대응으로 경제성장률 높여야"

4차 산업혁명 대응으로 2025년 이후 1.93%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경제성장률을 2.20%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융합을 가속화해 신성장 동력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문이다.

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적시 대응으로 경제성장률 높여야"

산업연구원은 24일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 보고서에서 “경제성장률 둔화는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2005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성장률 3.03%를 기록했으나 2016∼2025년 사이에는 2.71%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연은 4차 산업혁명 적극 대응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융합을 가속시킬 경우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2.85%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제조업 성장세가 상대적으로 강해지면서 반도체, 전기장치, 정밀기기, 정밀화학 분야가 안정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후 2026년부터 2035년까지 10년 동안에도 4차 산업혁명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연평균 성장률은 서비스 주도형의 경우 2.20%, 제조업 주도형은 2.12%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4차 산업혁명에 제대로 대비하지 않을 경우 이 기간 경제성장률은 1.93%까지 늦춰진다.

산업연구원은 독일과 일본도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독일은 2016년에 발표한 전망 보고서에서 “디지털화를 가속했을 경우 2030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이전보다 약 4% 증가하고 실업률은 약 20% 감소할 것”이라며 “1인당 국민소득도 4% 더 늘어나고 전산업 부문에서 약 25만명의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도 2016년에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통해 '초스마트사회(Society 5.0)' 전략을 제시했다. 일본은 경제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이 성공할 경우 2030년 실질 GDP 성장률이 2.0%로 올라가며 현 상황을 그대로 방치했을 때보다 1.2%포인트가량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용호 산업연구원 박사는 “4차 산업혁명 도래는 경제와 산업구조에 예상하기 어려운 수준의 변화를 요구한다”면서도 “성공적으로 대응한다면 기술 변화에 따른 긍정적인 파급효과로 추가 성장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경민 산업정책(세종)전문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