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축사 보급 빨라진다...전파연구원 센서 19종 국가표준 행정예고

스마트 축사 보급 확대를 촉진할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 국가표준이 제정된다.

스마트축산 농장의 송아지로봇포유기. [자료:농촌진흥청]
스마트축산 농장의 송아지로봇포유기. [자료:농촌진흥청]

국립전파연구원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센서 19종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국가표준안 3건을 제정하기 위해 행정예고 한다고 17일 밝혔다.

표준은 스마트 축사 외부 환경을 측정하는 기온·풍향·풍속·감우·습도·일사·일조센서 7종, 축사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기온·습도·이산화탄소·암모니아·조도·산소·차압·풍속센서 8종 등 환경 측정 센서에 대한 것이다.

표준은 농업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안전 센서 측정범위와 통신 장치나 기기를 구성하는 전기 기구 부품 등을 서로 접속해 회로나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도선·배선 기준을 제시한다.

국내 축산 농가는 정부 지원사업으로 스마트 축사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 23호에서 지난해 1425호로 늘어났다.

스마트팜 기자재 국내 제품 개발이 아직 부족한데다 표준화되지 않은 부품과 기자재가 도입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설유지 및 관리 애로, 시설확장과 운영비용 증대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스마트팜 표준 제정 등을 추진 중이다.

이번 표준은 농업정책·연구·실용화·표준제정을 담당하는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이뤄졌다.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표준화 정책수립·기자재 공통규격을 설정했고,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스마트팜ICT융합표준화포럼은 산·학·민·관 의견 수렴과 국가표준안 초안을 마련했다. 국립전파연구원은 국가표준안 기술심의 등 절차를 통해 국가표준을 제정할 예정이다.

국가표준이 제정돼 규격에 맞게 제품을 제작하면 고장이나 장애 발생 시 특정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에서 규격에 맞는 제품을 손쉽게 구매해 빠른 시일 내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파연구원 관계자는 “국가표준이 제정되면 시설 유지보수와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스마트 축사 보급이 촉진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농·축산업 분야에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 정책(세종) 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