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웹에서도 장애인 울리는 대기업

10대 그룹의 웹 접근성 평가 결과는 우리 사회의 장애인 정책 수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현실의 장애인 배제가 인터넷 공간에서도 그대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장애인 채용에 극히 소극적이다. 30대 기업의 평균 장애인 고용률은 1.8%에 불과하다. 의무 고용률 2.5%에 한참 모자란 수치다. 일부 기업은 `벌금 내면 그만`이라는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10대 그룹의 웹 접근성 수준은 예외 없이 낙제점이다. SK나 현대자동차 그룹이 그나마 합격선에 가깝고 한화와 포스코가 그 뒤를 이었지만 삼성과 LG는 60점대를 면치 못했다. 롯데 그룹은 49.3점이라는 참담한 성적을 받았다. 낙제 기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점수다.

기업은 고객이 가장 중요하다. 장애인 역시 고객이다. 인터넷이 생활의 일부가 된 지금 사회에서 웹 접근성을 갖추지 않은 채 `고객을 배려한다`고 하는 대기업의 선언은 구두선에 지나지 않는다.

공공기관도 마찬가지다. 6만개가 넘는 공공기관 웹 사이트 가운데 웹 접근성 인증을 받은 사례는 1%를 밑돈다. 인증이 의무가 아니고 법적 구속력이 없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의 자발적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장애인 정책은 국가 복지 수준의 척도다. 우리 사회는 여전히 장애인을 구성원의 일부로 바라보지 못하고 동정의 대상으로 치부한다. 장애인 정책은 시혜가 아닌 의무다. 시각 변화가 없으면 정책 개선도 없다.

인터넷에 이어 스마트 혁명으로 이어지는 시기다. 장애인이 불편하지 않도록 사회 인프라를 개선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웹 접근성도 소홀히 여길 수 없다. 공공과 민간 모두의 웹 접근성 개선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