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민영기업 새출범` 의미와 전망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KT 민영화 이전과 이후

 KT의 주총은 10년 넘게 끌어온 민영화 일정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민영KT의 출범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자리인 동시에 정부의 통신정책이 새로운 전환기에 놓였음을 알리는 신호탄이기도 하다.

 20일 주총은 정부가 보유중인 지분 28.34%를 지난 5월 최종 매각한 이후 이용경 사장 체제 출범과 정관변경 등의 사항을 추인하게 된다. 또 정부는 주주명부 폐쇄 이전 KT 대주주로서의 권한을 마지막으로 행사하게 된다.

 ◇의미=이번 KT의 주총은 통신업계 민간경쟁 체제의 공식 출발점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지난 5월 실질적인 민영화를 완료했으나 이날 주총은 이를 공식적으로 추인하는 자리라는 얘기다.

 특히 이날 주총은 그동안 거론돼온 정관변경과 사장선임, 사외이사 선임 등의 안건을 완료하게 됨으로써 앞으로 민간기업으로서 주주 중심의 전문경영인 체제 출범과 함께 정부의 보호막을 벗어나 시장경쟁의 테두리안에서 내실을 다져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정부 역시 KT라는 출자회사를 갖고 있으면서 아무래도 왜곡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통신정책을 정상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게 됐다.

 ◇어떤 안건이 처리되나=우선 사장선임과 지배구조 등에 관한 정관변경건이 가장 관심을 끈다. 이날 KT 주총에서는 사장과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고 사외이사(비상임이사)를 추가로 선임해야 한다.

 공석 및 새로 추가된 사외이사로는 장현준 포항공대 초빙교수,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스튜어트 B 솔로몬 매트라이프 사장 등 3인이다. 이에 따라 KT는 기존에 6명이던 사외이사가 9명으로 늘어나게 되며 상임이사의 경우는 기조실장이었던 이경준 KTF 사장의 공석으로 내년 정기주총 때까지 6명에서 5명으로 운영된다.

 또 기업지배구조와 관련이 있는 집중투표제를 도입하고 감사위원회가 신설된다. 특정기업이나 개인의 경영권 장악을 사전에 감시하는 역할을 위해서다. 다만 감사위원회는 내년 정기주총 이후 공식 발족돼 운영될 예정이다. 외국인 주식보유 한도의 경우도 37.2%에서 11.8%를 확대해 공식적으로 49%를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이 주장해온 주식맞교환(스와핑)의 걸림돌도 해소될 전망이다.

 ◇경쟁사업자 ‘비상’=통신시장의 완전 민간경쟁체제 시대 돌입을 바라보는 경쟁사업자들의 시각은 공포 그 자체다. KT는 한마디로 유무선을 망라한 국내 유일의 거대 통신사업자다. 기간인프라가 그러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신규 사업 부문의 잠재력 역시 막강하다.

 따라서 그동안 정부의 ‘적절한 규제’를 받아온 KT가 이를 계기로 지배적사업자로서의 위상을 내세워 전방위 공세를 취할 경우 속수무책이다. 특히 정부의 보호를 받아온 하나로통신이나 LG텔레콤 등 유무선 마이너사업자의 경우 위기감이 더욱 고조됐다. 그나마 통신3강 정책을 주도해온 정통부도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는 형국이다. 더 나아가 신임 이상철 장관은 비대칭 규제보다는 ‘시장의 원리에 따른 경쟁체제 수립’을 강조하고 있다.

 ◇전망 및 과제=경쟁사업자의 이런 우려와는 달리 민간기업으로 변신한 KT의 고민도 깊다.

 각종 규제와 정보기술(IT)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유선부문의 매출비중이 날로 줄어들고 있는데다 경쟁사업자들의 시장점유율도 조금씩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KT는 그동안 정부 출자기업이라는 이유로 규제를 받은 것도 사실이지만 정부의 지원을 음으로 양으로 업고 성장해온 기업이다. 따라서 이제는 정부의 지원은 기대할 수 없게 됐고 더 나아가 자체 수익구조의 다변화를 통해 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이와 함께 통신사업의 특성상 민간기업이면서 공기업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수익성 위주의 사업 포트폴리오도 새롭게 가다듬어야 하고 경영혁신도 뒤따라야 한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