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 지자체가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녹색성장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소는 전국 지자체가 업체 유치에 경쟁적으로 나서면서 난개발과 투기장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27일 관련 기관에 따르면 부산·대구·대전·광주 등 전국 지자체가 태양광과 풍력 등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으로 떠오른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에 경쟁적으로 나섰다.
범정부 차원에서 이뤄지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산업 정책 기조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고 향후 각종 연구개발(R&D) 및 지원사업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일부 사업은 지역 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채 ‘일단 하고 보자’ 식의 중복 투자도 많아 부작용이 우려된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내년까지 총 7645억원을 투입해 △태양광발전·해상 풍력단지 조성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기후변화연구센터 설치 등 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기반 구축 △국제 에너지·환경산업전 등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사업 등을 추진한다. 여기에는 동부산권 기장군 일원에 10㎿급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타운을 조성하고 서부산권 강서구 일원에 풍력발전 등 그린산업단지 81만2000㎡를 조성해 동부산과 서부산권을 중심으로 녹색성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다.
대전시는 ‘그린시티 건설’을 기치로 내세우고 올해부터 2012년까지 총 460억원을 들여 대덕테크노밸리에 신재생에너지 연구 및 비즈니스 개발(R&BD) 허브센터를 구축, 신재생에너지의 상용화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관련 기업 100개를 유치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충남도는 오는 2012년까지 태안 종합에너지특구 조성에 4880억원을 투입해 해상 풍력 및 태양광발전 설비, 농업용 열에너지 공급, 바이오디젤 정제공장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 2004년 태양에너지 도시(솔라시티)를 선언한 광주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탄소은행제를 운용 중이며,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에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또 오는 2014년 세계수소에너지대회 유치를 계기로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남도는 전국 최대 규모의 태양광발전소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전북도도 태양전지 원재료 및 태양광발전소 기업 유치와 함께 새만금 용지에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 중이다.
대구시는 태양광·수소·연료전지를 중심으로 테크노폴리스를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 시범단지로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경북도는 경주·울진의 원전과 영덕의 풍력·태양광발전, 포항의 연료전지 등을 중심으로 ‘동해안 에너지클러스터’의 면모를 갖춰 나갈 계획이다.
충북도는 ‘아시아 솔라밸리’를 목표로 음성과 증평산업단지에 태양전지 생산업체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고, 충남도는 오는 2012년까지 조성할 태안 종합 에너지특구에 총 4880억원을 투입해 해상 풍력 및 태양광발전 설비, 농업용 열에너지 공급, 바이오디젤 정제공장 조성 등을 진행 중이다.
강원도는 동해안(수소·연료전지), 남부(태양광), 서부(전력IT)권으로 신재생에너지 특화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제주도는 국제 규격의 육·해상 풍력발전 실증 연구단지 조성과 태양에너지 해수 담수화 실용화 연구, 수소연료전지 통합기술 개발, 지열에너지 공급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틀이 크게 △복합타운 또는 시범단지 클러스터 구축 △R&D 및 기업 유치 등으로 서로 비슷하게 추진되고 있다며 중복 및 과열 경쟁을 우려했다.
양남식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기획실장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큰 틀에서 지자체의 신재생에너지 육성 및 보급은 시대 흐름에 타당하지만 에너지원 등 지역적 특성 및 여건을 감안해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면서 “각 지자체의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밑그림이 될 수 있는 용역이 조만간 실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kr
지자체 `그린에너지`사업 쏟아진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지자체별 주요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