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로봇산업 대비 국제표준 선점 나서야”

“지능형 로봇산업 대비 국제표준 선점 나서야”

 “IT가 단순히 정보통신을 의미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진화된 IT인 인텔리전스 테크놀로지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것이죠.”

 김종환 KAIST 로봇지능기술연구센터 소장은 “기존 산업자동화에 집중됐던 로봇산업을 향한 관심을 의료 및 복지 서비스 분야로 확대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지식을 잘 쓸 수 있는 지능을 갖고 있는 로봇이야말로 미래산업의 꽃”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대한민국이 주도했던 기존의 IT를 앞으로도 계속 주도하기 위해서는 지능 연구가 필수”라며 “햅틱 장치도 지능을 똑똑히 하자는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지능형 로봇은 시각이나 청각 등 감각센서를 거쳐 외부 정보를 입력받아 스스로 판단해 적절한 행동을 하는 로봇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김 소장은 “기존 연구에서는 로봇 지능을 모두 인공지능(AI)으로 해석해 연구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로봇분야의 국내외 표준화 현황을 언급하며 지금부터 준비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냈다.

 현재 로봇관련 표준화는 산업자동화(ISO/TC 184)와 산업용로봇(SC2)의 관련 규격만 존재할 뿐 향후 시장이 확대될 지능형로봇(서비스로봇)의 국제 표준은 전무한 상태라는 것.

 김 소장은 “로봇은 시장형성 초기단계여서 국제기구나 관련단체, 기업의 사실상 표준도 없는 상황”이라며 “기술개발과 함께 표준선점 전략도 중장기적으로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대전지역의 로봇이 어디로 가야 하는지도 한마디 거들었다.

 “대전은 정책을 만드는 서울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대신 산업연구 분야를 키워야 한다고 봅니다. 시장이 열릴 연구는 얼마든지 가능할 것입니다.”

 김 소장은 또 시장이 열릴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좋은 아이디어를 낼 인력이 양성돼야 하고, 배출된 인력들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에 포진해 벤처를 만들 수 있는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로봇 산업 활성화의 토대를 만들어 가자는 것. 특히 로봇은 대규모 공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만 있으면 언제든 벤처창업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로봇은 3D 등 다양한 관련 기술이 필요한 종합학문입니다. 복합 시스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산업에서의 직·간접적인 파급효과도 엄청나게 큽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