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은 서울대의 강의를 인터넷을 통해 일반에 공개하는 ‘서울대학교 온라인 지식나눔 서비스(SNUi)’를 실시했지만 사립대의 견제를 받았다. 수익을 목적으로 평생교육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사립대가 막강한 브랜드파워를 가진 서울대의 ‘시장 흡수’를 우려했기 때문이다.
양호환 서울대 평생교육원장은 “국립대의 사회적 봉사 차원에서 수익성을 추구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강의 수를 늘리는 등의 사업 확장에 있어서 사립대가 불편해 한다”고 말했다.
각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앞다퉈 이러닝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속앓이를 하고 있는 민간업계의 한 단면이다. 공공기관은 시민 복지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지만 민간 기업들은 기껏 업체들이 조성한 이러닝 산업 시장을 공공서비스가 잠식할 수 있다는 걱정이다.
지자체 중 가장 활발히 이러닝 서비스를 펼치는 곳은 경기도다. 도는 경기사이버아카데미와 경기여성이러닝센터를 통해 전국에 이러닝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4월 문을 연 경기사이버아카데미의 경우 수강 강좌 건수가 7만건을 넘어섰고, 경기여성이러닝센터도 누적회원이 1만8000명에 달한다. 제공하는 콘텐츠는 리더십을 비롯해 IT등 전문분야, 영어 등 전 영역에 이른다.
지자체의 서비스는 복지 명분으로 수강료가 무료이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무료 서비스가 활발해 질수록 소비자들이 결국 이러닝은 돈을 내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라는 우려다. 더욱이 대부분 이러닝업체들이 아직 영세해 일정 수준 이상의 수강료를 받아야 하므로 무료 이러닝 서비스가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한 이러닝 콘텐츠 제작업체 사장은 “이러닝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해놓고도 산업 진흥보다 단순 복지 차원으로만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바우처 형식의 서비스로 산업도 살리고 교육 복지도 증진하는 방안이 더 옳다”고 말했다.
입시 시장도 마찬가지다. 올해들어 정부가 사교육 대책의 일환으로 EBS 수능출제비율을 높이면서 오프라인 학원보다 이러닝 업체들이 더 큰 위기감을 느낀다. 오프라인 입시 교육과 이러닝은 수요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외려 시중 학원보다는 더 낮은 가격에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러닝을 사교육 대책의 타겟으로 잘못 잡았다는 지적이다.
중·고등학생을 상대로 하는 이러닝 업체 관계자는 “사교육 죽이기 대책이 학교 살리기가 아닌 EBS 등 이러닝 강화로 나가면서 문제의 본질인 대형 학원이 아닌 애꿎은 이러닝 업체에 화살이 돌아오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
공공서비스에 위협받는 ‘민간 이러닝 시장’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작년 개인 소비자 이러닝 이용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