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과학기술 융합 "지식재산을 이용하라"

과학기술과 ICT 융합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지식재산(IP)이 떠올랐다. 융합을 이끌 미래창조과학부가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하려면 창의인재·발명가 등 IP생산자를 위한 생태계 구축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영일 이화여자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5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한 `과학기술과 ICT 융합` 토론회에서 융합을 위한 수단으로 IP를 제시했다. 박 교수는 “미래부 한쪽에는 과학기술, 다른 한쪽에는 ICT가 있는 것으로 널리 인식된다”며 “중간을 이어줄 성공적인 융합기술 패키지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박 교수가 주장한 ICT 기반 융합 과학기술 패키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IP다. 그는 “(미래부 산하에 이관되는) 지식재산전략기획단을 활용해 융합 전 분야를 아우르는 체제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과 ICT 융합을 위해서는 전통 연구 주체를 넘어 신형 주체가 활동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라고 박 교수는 주장했다. 그는 “과학기술과 ICT가 융합해 새로운 창의경제 체제로 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주체가 떠올랐다”며 “창의인재, 발명가 같은 IP 생산자가 그 주역”이라고 말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도전할 수 있는 창의 인재와 그들이 만들어낸 IP권이 융합에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박 교수는 “앞으로 정책은 신형 주체가 혁신적인 움직일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과학기술과 ICT 융합을 위한 세 가지 원칙도 제시했다. 융합을 위해 정부가 새로운 사업,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기술` `수요` `서비스`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융합으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형성할 때 우리나라의 경우 원천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원천 기술 중심에는 `소프트 혁신`이 있다”고 말했다. 그 다음은 수요다. 새로운 경쟁력을 가진 기술이 신산업으로 이어지려면 요구와 상응해야 한다는 것이 박 교수의 의견이다. 그는 “최근 실질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노령인구에 따른 문화적 소비패턴이 바뀌고 있다”며 “ICT에 기반한 산업은 이런 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융합의 궁극적 목표는 `스마트`다. 박 교수는 “국민 행복에 기여하는 스마트워크(Smart Work), 스마트라이프(Smart Lift), 스마트안전(Smart Security)을 위해서 과학기술과 ICT가 융합돼야 하는 것”이라며 “로봇기술·재난재해방지 기술 등 스마트 결과물이 전 산업 분야에 기술 융합을 일으켜 막대한 활용처와 산업을 만들어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토론회에서는 박 교수의 주제 발표에 이어 김동욱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이 `ICT 생태계와 전략과제`란 주제로 발표했다. 문길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곽재원 한국과총 부회장, 김상선 연구개발인력교육원장, 박진우 고려대 교수, 송하중 경희대 교수, 조현석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등 전문가가 과학기술과 ICT 융합 방법과 전략에 대해 열띤 논의를 진행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