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2.0]스타트업 성장 동반자 모태펀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모태조합 운용체계도

미국·이스라엘 성공 스타트업·벤처 뒤에는 투자자가 있다. 과정은 이렇다. 창업자 개인 또는 팀이 아이디어를 구체화한다. 그리고 투자자를 찾아간다. 물론 쉽지는 않다. 투자자 모두가 거부하면 창업자는 사업을 접는다. 실패다. 그리고 다시 기존 모델을 응용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해 투자자를 찾는다. 투자를 받으면 그 때 사업이 구체화된다. 초기 투자자는 대개 엔젤(개인투자자)이다. 자금줄뿐만 아니라 멘토로 기술·재무·회계·마케팅·인력 등 경영 전반에 관여한다. 조언자며, 성공 파트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는 이런 환경이 조성돼 있지 않다. 창업자는 대개 정부 정책기관을 찾는다. 창업자금을 받기 위해서다. 정책 자금 대부분은 융자로 이뤄진다. 평가를 한다지만 손실을 감수하며 나서는 투자자 수준은 아니다. 실패는 곧 신용불량자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정부가 스타트업 자금지원 환경을 미국·이스라엘과 같이 융자에서 투자로 전환한다. 여기에 크게 일조하는 게 바로 모태펀드다. 중소기업청과 한국벤처투자가 운영하는 모태펀드는 지난해까지 1조4791억원이 조성됐다. 올해는 925억원 예산이 추가 출연돼 1조5716억원으로 확대된다.

정부는 초기 스타트업 투자시장 확대를 위해 모태펀드를 활용한다. 올해만 엔젤투자매칭펀드, 창업초기전용펀드, 청년창업펀드를 조성한다. 엔젤투자매칭펀드는 엔젤이 창업 초기 기업에 투자하면 매칭으로 투자한다. 예컨대 스타트업 A사가 엔젤투자자로부터 1억원을 유치시 정부 모태펀드가 조성한 펀드에서 1억원을 매칭으로 투자하는 구조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한곳에서 투자를 유치하면 두 배 자금을 확보하는 효과를 거둔다. 지난해 한국벤처투자는 870억원 규모의 엔젤투자매칭펀드를 조성했다. 올 2월까지 92개사에 147억원을 투자했다. 엔젤투자매칭펀드는 분명 엔젤투자시장에 자극을 줬다. 정유신 한국벤처투자 대표는 “펀드를 운용한지 1년여 밖에 되지 않아 성과를 말하기는 이르지만 엔젤투자자와 클럽이 크게 늘었다는 것을 보면 엔젤투자 시장 기반 구축과 엔젤투자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엔젤투자자는 2011년말 369명에서 올 2월말 3000명을 넘어섰다. 엔젤클럽도 이 기간 9개에서 7배나 늘어난 65개가 됐다.

모태펀드는 엔젤투자매칭펀드 이외에도 창업초기전용펀드와 청년창업펀드를 결성한다. 각 1000억원과 400억~1000억원 규모로 만든다. 사실상 스타트업 투자 목적이다. 청년창업펀드는 정부가 대기업과 연기금을 끌어들여 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들의 벤처투자시장 참여가 부진해서다. 정부가 나서서 벤처투자시장 리스크(위험)가 크지 않다는 것을 설득하겠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공동 투자자(LP) 설득을 위해 세제 혜택 등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크라우드 펀딩도 정부 모태펀드 추진사업으로 기대되는 정책이다. 크라우드 펀딩은 국민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창업기업에 공동 투자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하반기 목표로 법 개정 작업에 나선다. 크라우드 펀딩은 지난해 미국에서 소위 `잡스(JOBS)법` 제정으로 힘을 받게 됐다. 국민이 스타트업 투자에 관심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 과거 벤처 붐 당시 국민이 엔젤투자자로 나섰듯이 저금리 시대 스타트업 투자가 하나의 국민 재테크 수단으로 등장하는 셈이다.

모태펀드는 세컨더리펀드 시장 활성화에도 나선다. 세컨더리펀드는 벤처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투자자(엔젤·벤처캐피털)가 보유 중인 지분을 인수한다. 벤처펀드 운용기간이 5~7년인 가운데 피투자 벤처기업이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에 나서지 않자, 벤처캐피털이 자금회수(Exit)에 어려움을 겪어서다. 회수시장 규모를 키우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 지속적인 요구사항이다. 미국·이스라엘 등 벤처 선진시장과 비교해 우리나라는 M&A가 극히 부진해서다. 해외에서는 스타트업 투자자 대부분이 M&A로 자금을 회수한다. 건수 기준으로 IPO에 비해 크게 높다. 모 벤처캐피털업계 임원은 정부 세컨더리펀드 시장 조성 의지에 “숨통이 좀 트이겠다”고 환영했다. 올해 엔젤투자자를 지원하는 세컨더리펀드가 300억원 규모, 창업초기기업 전용 세컨더리펀드가 500억원 규모로 결성된다.

M&A전문펀드도 300억~1000억원 규모로 결성한다. 역시 부진한 M&A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다. 정부는 펀드 결성과 별도로 M&A활성화를 위해 M&A 인포마켓 중개기관을 회계법인·법무법인·창업투자사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영문 M&A 정보, 해외컨설팅 회사 중개기관 참여 등으로 해외자본 유치에도 나선다. 정보통신기술(ICT)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도 우수한 기술을 보유해, 해외에서 상당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엔젤투자 확대가 창업·벤처시장 활성화와 직결된다고 강조한다. 많은 스타트업이 창업해도 이들이 자금을 유치하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한다. 이들이 과거와 같이 보증이나 융자로 자금을 유치했다가 실패하면 신용불량자 멍에를 써야 한다. 정유신 대표는 “엔젤시장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정책이 실패할 경우 앞으로 10년간 국내 엔젤시장은 다시 깊은 침체에 빠질 수 있다”며 “윤리성 제고를 위해 엔젤투자자 자체 자정노력과 윤리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엔젤투자실적은 벤처 붐이 한창인 2000년에는 5493억원까지 확대됐으나 이후 급감했다. 2009~2010년에는 300억원대로 줄었으며 스타트업 창업 열풍이 불기 전인 2011년에는 296억원에 그쳤다.


【표】모태펀드 세부 펀드별 조성 계획

※자료:중소기업청·한국벤처투자

※자료:중소기업청·한국벤처투자

※자료:중소기업청·한국벤처투자

[스타트업 2.0]스타트업 성장 동반자 모태펀드

[스타트업 2.0]스타트업 성장 동반자 모태펀드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