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우주로 쏘아올린 창조경제 폭죽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글로벌 전기차 업계 충전표준 현황

올해 태어난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할 때쯤인 오는 2020년이면 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러시아나 일본으로 유랑 다닐 일이 없어진다. 정부가 우리 기술로 만든 `한국형 발사체`의 개발 완료 시기를 1년 이상 대폭 단축한 덕택이다.

[해설]우주로 쏘아올린 창조경제 폭죽

[해설]우주로 쏘아올린 창조경제 폭죽

발사체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의 인프라다. 나로호 프로젝트 때 우리가 고전했던 것은 발사체 기술 모두가 우리 것이 아닌 러시아 것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7년 뒤 1.5톤급 실용위성을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발사체가 만들어진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 발사체를 활용해 할 수 있는 우주개발 사업은 실로 무궁무진하다.

정부는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는 2020년에 궤도선과 착륙선을 발사체에 실어 달나라로 쏘아 올릴 계획이다. 단군 이래 최대 숙원사업이라는 `달 탐사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이다. 자력 달 탐사 성공은 우주기술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동시에 국격 제고를 통해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효과도 크다. 달 탐사에 그치지 않고, 화성과 소행성, 심우주 탐사까지 추진한다는 게 정부의 장기 목표다.

세계 수준에 근접해 있는 위성 개발 분야도 지속 강화된다. 해상도 0.5m 이하급 `광학카메라 탑재체`와 전천후 상시 관측이 가능한 `고성능 레이더 탑재체`만큼은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다. 국민 생활과 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위성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시간 기상정보 분석과 예측, 해양오염 감시, 농경물 작황파악, 해상 물류관리 등 `다가가는 위성정보 활용시스템`이 신규 서비스된다.

문제는 기술이 아닌 돈이다.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발사체 기술은 이미 60년 전 제작된 교과서에 다 나와 있다. 그 매뉴얼 따라 조립하기만 하면 되는데, 그게 돈이 많이 든다”고 말했다. 연간 8800억원 수준으로 세계 우주시장(195조원)의 0.45%에 불과한 국내 우주산업 규모로는 이 돈을 감당할 수가 없다. 발사체 개발과 달 탐사 성공으로 거둔 기술을 민간에 상용화시키면서 이른바 `우주경제`를 활성화하는 선순환을 일으키겠다는 게 정부 발상이지만 이 역시 만만치 않다.

강성철 KIST 박사는 “결국 효율성 문제”라며 “발사체나 달 탐사나 관련 기술은 이미 50~60년 전 모두 개발됐고, 민간에 내다 팔 수 있는 관련 기술은 거의 다 시장에 나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결국 정부가 이번에 그려낸 우주 탐사계획을 현실화하려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비용부담을 책임져야 할 국민의 호응이 필요한 셈이다.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비전
우주개발 로드맵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