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금융, 현장이 답]성실 실패 기업인 `신용불량` 딱지 떼주고 재도전 지원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기술금융 주요 정책 및 주요 기관별 기술금융 지원 정책

정부가 기술금융에 강력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담보와 보증을 중시하는 금융권 ‘보신주의’를 타파하고 기술에 기반한 투자를 늘려 금융이 창조경제의 중요 축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6일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창조금융 활성화를 위한 금융혁신 실천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27일과 28일 양일간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전국을 순회하는 현장 간담회를 통해 ‘기술금융 확산’을 진두지휘했다.

새로운 계획도 추가로 발표됐다. 우선 성실 실패자의 재도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재창업에 나서는 유망 기업인의 부정적 신용정보를 조기 삭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창조경제 구현과 기술금융 확산을 위해 핵심적 역할을 할 유망 서비스산업에 대해 향후 3년간 3조원 규모의 지원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기술금융을 현장 기업에 녹이기 위해 각 부처와 협력을 통해 산업별 수요를 파악하고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주도로 3년간 최대 3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아이디어와 기술에 대한 맞춤형 금융지원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제약과 바이오, 의료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신약개발 역량 제고를 위해 조성 중인 ‘글로벌제약산업 육성펀드’에 정책금융공사가 최소 500억원 출자한다. 게임과 애니메이션 등 문화콘텐츠 육성을 위한 ‘위풍당당콘텐츠코리아펀드’ ‘디지털콘텐츠코리아펀드’도 확대한다.

은행의 기술에 기반한 대출과 투자도 획기적으로 높여본다는 계획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달 초 기술신용평가기관(TCB)의 평가가 적용된 이후 8월 중순까지 약 1200개 기업에 총 8400억원의 기술금융 지원이 이뤄졌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은행권의 활발한 참여를 위해 인센티브를 더 늘리기로 했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기술신용대출펀드 규모는 현재 1000억원에서 앞으로 1조원까지 확대된다. 또 은행의 기술신용대출에 대해서는 기보가 최대 3%포인트까지 이자보전하고 각종 정책자금을 공급하는 등의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기술가치평가 투자펀드가 3000억원 규모로 신규 조성될 예정이고, 이와 맞물려 기술기업 투자자금이 원할히 회수되도록 매수하는 펀드도 현행 2000억원 수준에서 47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투자와 회수의 조화를 이루겠다는 접근이다.

‘패자 부활’이 활기를 띠도록 정부의 재창업 지원을 받는 기업인에게는 부정적 신용정보를 조기에 삭제한다. 신용회복 절차가 진행 중이더라도 정부 정책지원을 받는 재기 기업인은 앞으로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신청을 통해 개인회생이력 등 불리한 신용정보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창업 실패 후 다시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인 가운데 다수가 개인회생 등을 통한 신용회복 이후에도 최장 5년간 부정적 신용정보가 남아있어 재도전 기회를 상실하는 일이 적지 않았다.

연대보증 면제도 확대된다. 금융당국은 현재 우수창업기업이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을 때 적용받는 연대 보증면제를 창업기업이 아닌 기존기업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올해 신보와 기보는 각각 500억원 규모의 연대보증면제 상품을 출시했다.

금융위는 올해 7월 출범한 기술신용대출제도를 통해 은행이 2016년 말까지 7만여개 기업에 대해 기술자금을 공급한다. 또 3000억원 규모의 ‘기술가치투자펀드’를 조성하는 등 기술평가에 기반을 둔 투자자금을 확대한다. 이공계 인력 채용강화, 은행별 혁신성 평가 등을 통해 은행의 기술금융역량도 지속적으로 높여나갈 방침이다.

서민을 위한 금융정책도 대거 보강된다. 향후 관계부처 합동으로 문을 열게 되는 전국 70여개 고용복지센터에는 별도의 ‘서민금융상담센터’가 가동될 예정이다. 방문자에게 한 번에 일자리와 복지, 육아, 문화향유 기회, 서민금융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주거·고용·복지 정책과 연계한 서민금융 상품도 꾸준히 늘려나갈 계획이다.

<기술금융 주요 정책 / 자료: 금융위원회>


기술금융 주요 정책 / 자료: 금융위원회

<주요 기관별 기술금융 지원 정책>


주요 기관별 기술금융 지원 정책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