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스마트폰 보안 구멍 더 커지기 전에 막아야

웹 검색부터 대중교통 이용, 금융 업무, 전자제품 원격제어까지 웬만한 일을 스마트폰으로 다 처리하는 시대다. 없으면 불안할 정도로 의존도는 갈수록 커진다. 그런데 이 스마트폰 주인이 누구이며 무엇을 하는지 누군가가 몰래 들여다본다면 어떻게 될까. 문명 이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 전혀 예상치 못한 2차, 3차 피해를 부른다.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와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대책이 절실하다.

최근 스마트폰 보안 허점이 잇따라 노출돼 쉽사리 해킹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국가정보원은 북한 해킹 조직이 게임을 위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게시 도는 유포해 2만여 대 스마트폰을 감염시킨 정황을 포착했다. 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는 삼성 스마트폰 원격조종 기능을 악용한 해킹 우려 가능성을 표출했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는 인도에서 사용자 데이터 유출 우려가 제기했다.

국정원은 백신 업데이트, 악성 앱 삭제, 해킹 경유지 차단 조치를 했으며, 삼성전자는 모바일 보안 플랫폼 ‘녹스’ 수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샤오미는 사용자 데이터를 담은 서버를 중국 밖으로 옮기기로 했다. 대응이 어느 정도 이뤄진 셈이다. 그러나 동시다발적인 보안 우려 발생은 이 문제가 앞으로 더 심각해질 것임을 일러주는 신호다.

그렇다고 스마트폰에 보안 기술을 덕지덕지 붙일 수도 없는 노릇이다. 데이터 처리속도가 느려지고 불편해진다. 보안 우려와 불편이 없앤 스마트폰 보안 체계를 만들려면 특정 기업의 힘으로 힘들다. 정부, 통신사, 제조사, 서비스업체, 보안업체 할 것 없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큰 그림부터 세밀한 부분까지 효율적인 체계를 만들어야 기업 투자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다.

스마트폰 보급이 앞선 우리나라는 아무래도 보안 문제가 먼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달리 말하면 다른 나라보다 먼저 모바일 보안 체계와 관련 해법을 잘 갖추면 수출 상품으로 육성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정부와 업계 공동의 스마트폰 보안 종합 대책을 요구하는 또 다른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