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과학향기]스트레스가 체온 떨어뜨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본격적인 겨울이다. 이번주 연일 영하권을 기록하며 매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강추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바로 체온. 우리 몸은 추위를 느끼면 손과 발이 차가워지고 닭살이 돋는다. 우리 몸이 열을 잡아두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키고 모공을 좁히기 때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추위와 관계없이 체온이 낮고 손발이 찬 사람이 늘면서 체온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도 활발하다. 체온이 낮은 사람은 질병에 취약하고 면역력이 낮다는 주장이다.

적정 체온은 36.5~37도 사이다. 이 온도는 오전 10시를 기준으로 겨드랑이에서 쟀을 때 기준이다. 체온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신체 부위와 측정시간에 따라 다르다. 항문(직장)이나 귀에서는 38도, 구강은 37.5도가 적정 체온이다. 하루 중 아침 10시와 저녁 6시에 체온이 가장 높고 새벽 3시와 오후 11시에 가장 낮다.

체온은 주위 환경과 몸 상태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고 체온 반응에 우리 몸도 민감하게 대응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체온이 0.5도만 떨어져도 추위를 느끼게 되고, 근육이 긴장하며 혈관은 수축해 혈류량을 줄인다. 혈액 순환과 신진대사에 장애가 생기면서 호흡과 소화 기능은 떨어지고 호르몬 균형이 깨진다.

체온이 더 떨어져 35도가 되면 몸이 떨리면서 오한을 느끼게 되고 피부는 창백해진다. 34도 아래에서는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심장박동이 느려지면서 말이 꼬이고 몸 중심을 잘 잡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다 33도가 되면 근육이 굳고 31도에서는 의식이 흐려지며, 29도에서는 맥박과 호흡이 느려지다 28도에서는 심장기능이 멈춘다.

반대로 체온이 올라 39.6도 이상이 되면 심장박동이 빨라지면서 혈류량이 늘어난다. 열 생산량이 늘면서 우리 몸은 체온 항상성(恒常性)을 위해 열에너지를 방출하는데 그만큼 에너지 소모가 커 몸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피로해진다.

체온이 올라가면 뇌에서 필요한 산소량도 늘어나는데, 필요한 만큼 충족되지 못하면서 뇌세포가 파괴된다. 우리 몸은 많은 부분이 단백질로 이뤄져 있는데 고온 상태가 지속되면 이것이 변성되면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체온은 높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적정’할 때 가장 좋다. 몸은 적정체온인 36.5도~37도 일 때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움직인다. 효소는 음식을 ‘분해’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며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등 우리 몸 곳곳에 관여한다.

효소 움직임이 원활하다는 것은 안정적으로 호흡하고 소화는 잘 되며 에너지는 효율적으로 쓴다는 의미다.

혈액순환도 원활한 상태로 세포에도 충분한 영양과 산소 공급이 이뤄져 체내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체온이 낮은 사람이 몸을 따뜻하게 해서 36.5~37도까지 체온을 올리면 면역력에 관여하는 림프구 숫자도 늘어난다는 것이다. 체온이 올라가면 면역력도 증가한다는 게 연구자의 주장이다.

면역시스템은 우리 몸에 침입한 바이러스와 세균을 퇴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백혈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백혈구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림프구, 과립구, 매크로파지다. 이 중 림프구는 T세포, B세포, NK 세포 등으로 구성돼 있고 전체 35%를 차지한다. 림프구 증가가 면역력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어도 증가했다는 사실만으로 면역력이 향상됐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일본 면역학자인 니카타대학교대학원 아보 도오루 박사를 비롯해 일부 의사는 방송매체와 책에서 체온이 1도 떨어지면 면역력이 30% 감소하고 1도가 오르면 면역력이 5배 증가한다고 주장하지만, 이에 대한 근거도 사실상 부족한 상태다.

연구결과를 보면 적정체온을 넘어서면 우리 몸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류량을 줄여 체온을 떨어뜨린다. 림프구 숫자도 이에 맞춰 또 변한다. 즉 적정 체온일 때 면역기능이 가장 잘 작동하는 상태로 체온이 낮은 사람은 체온을 조금 높이고, 높은 사람은 적정체온으로 맞추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체온은 자율신경계가 조절한다. 체온이 높으면 교감신경을, 낮으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스트레스도 자율신경계 영향을 받는다. 몸은 긴장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혈관을 수축시켜 체온을 떨어뜨린다. 중요한 시험이나 발표를 앞두고 손이 차가워지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체온은 약물의 영향도 받는다. 고지혈증이나 당뇨, 고혈압 등의 약도 교감신경을 작동시켜 결과적으로 체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만성질환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 우선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몸은 소화를 시키는 데 에너지를 쓴다. 음식량이 많아지면 그만큼 소화기관으로 에너지가 몰리면서 체온이 떨어진다. 몸을 따뜻하게 하는 음식으로 알려진 계피와 마늘, 생강, 단호박 등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근육량을 늘릴 필요도 있다. 우리 몸에서 열을 가장 많이 만드는 곳이 골격근이다. 우리 몸의 22%의 열은 근육에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근육이 많아지면 같은 운동을 하더라도 근육이 적은 사람보다 더 많은 지방을 연소하면서 열을 더 많이 생산한다. 반신욕이나 족욕도 도움이 된다. 체온을 올릴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면서 체내 노폐물 배출도 원활하게 한다.

강추위에 잠깐의 외출에도 몸이 움츠려지는 겨울이다.

체온이 낮은 사람이라면 특히 옷을 두껍게 입고 따뜻한 차와 음식 등으로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화영 과학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