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KIST 연구팀, 줄기세포 대용량 배양 기술 개발

줄기세포를 경제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재사용 가능한 대면적 나노기둥 구조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를 더 큰 형태로 배양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윤명한 GIST 교수
<윤명한 GIST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문승현)은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양은경·김소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팀과 공동으로 재생의학 분야에서 상용할 대용량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보다 경제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나노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페트리디쉬에서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와(왼쪽)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에서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오른쪽) 모습(형광촬영사진).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에서 더 크고 완벽한 구체인 세포군체가 형성됐다.
<페트리디쉬에서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와(왼쪽)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에서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오른쪽) 모습(형광촬영사진).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에서 더 크고 완벽한 구체인 세포군체가 형성됐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완전히 자란 체세포에 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를 지닌 조작된 유전자를 주입해 세포 생성 초기 단계로 돌아가게 해 다분화능을 가지도록 유도한 세포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필요로 하는 세포로 분화시키기 이전에는 공모양의 세포군체 안에 많은 세포가 높은 활성상태에서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유도만능줄기세포 배양 방법은 세포군체 형성방법이 복잡하거나 세포 생존능이 낮고, 형성된 세포군체를 회수하기 어려웠다.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 배양 연구 모식도.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 배양 연구 모식도.>

GIST와 KIST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실제 적용을 위한 기초단계로 세포군체 형성을 유도·촉진하는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체로 이루어진 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

3인치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좌)와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들의 형광사진들.
<3인치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좌)와 배양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들의 형광사진들.>

금속을 촉매로 한 화학적 식각으로 나노기둥 구조체의 직경·밀도·길이 등을 조절,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포군체 형성에 최적화된 조건을 확립했다. 3인치 실리콘 웨이퍼에서 제작한 수직형 실리콘 나노기둥 구조체 위에 대량의 유도만능줄기세포 군체를 형성시켰다.

이 배양 플랫폼으로 형성된 유도만능줄기세로 세포군체의 세포생존능을 분석한 결과 100% 세포생존능을 나타냈다. 형성된 세포군체의 평균직경은 400㎛로 대조군(150㎛)대비 2.6배나 컸다.

나노구조체 위에서 형성된 세포군체는 피펫을 이용한 약한 수압을 가하는 방법으로 쉽게 회수할 수 있다. 세포군체 회수 후에는 같은 나노기둥 구조체에서 4회에 걸쳐 유도만능줄기세포 세포군체 재배양이 가능했다.

윤명한 교수는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의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최근 재생의학 분야에서 가장 관심이 큰 주제”라면서 “이번에 개발한 수직형 실리콘 나노구조체 배양법은 신약 개발을 위한 약물 스크리닝이나 대체조직 생산 등을 위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대용량 배양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