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조류독감에 ICT 적극 활용하자

정부가 변종 조류독감(AI) 대응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방역 체계를 강화한다. 축산 차량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종합상황관제시스템을 도입했고, 축산 농가를 출입하는 차량 위성항법장치(GPS) 교체도 서두르기로 했다.

시스템은 축산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차량에 부착된 GPS 정보가 70초마다 갱신돼 정밀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실시간 이동 경로까지 파악할 수 있다. 더욱 세밀한 동물 감염병 대처가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ICT 전문가들은 신속한 대처에 그치지 않고 방역 개념을 `확산방지`에서 `원발조기대응`으로 바꿔야 한다고 조언한다.

AI뿐만 아니라 최근 유행하는 동물 감염병은 변이가 거듭 진행, 전파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퍼지기 시작하면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 대응 속도가 확산 방지 성패를 좌우한다. 이통사도 축산 농가를 사물인터넷(IoT) 센서로 실시간 관리하면 AI 의심 증상 발현 시 즉각 대응에 나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실제 축산 분야의 ICT 도입 성과는 이전에도 있었다. 2013년 투입된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은 축산농가 역학 조사 시간을 다섯 배 이상 단축했다. 2014년 KT와 추진한 AI 확산 경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국내 확산 원인이 축산 농가 방문 차량이라는 사실을 실증했다. 이번에 고도화된 GPS시스템도 이미 2012년 말에 도입됐다.

조금 더 투자하고 고도화를 앞당겼다면 이번 사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실제 이번에 도입한 종합상황관제시스템 개발도 4개월여밖에 안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았거나 우선 순위에 밀렸다고밖에 볼 수 없다. 의지 문제다. 현재 축산농가 출입 차량은 전용 GPS 장착을 의무화해야 한다. 월 9900원 통신요금이 발생한다. 정부가 50%를 보조하고 나머지는 차주가 낸다. AI에 대한 책임은 민·관 모두에 있는 만큼 ICT를 활용한 적극 정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