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드론, 공공 수요 창출 '투트랙' 전략 필요

드론은 우리나라가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도 산업 생태계 창출이 더딘 분야다. 취미용 드론은 중국에, 군사용 드론은 미국·이스라엘 등 선진국에 각각 치이는 '샌드위치' 신세다. 영세한 제조 기반과 시장 규모도 문제다. 공공 수요 창출과 규제 개혁이 '투트랙'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드론으로 한국서부발전 연돌(굴뚝)을 점검하는 모습
드론으로 한국서부발전 연돌(굴뚝)을 점검하는 모습

드론은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산업이다. 항공, 로보틱스,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된다. 전통 항공 산업과 달리, 고성능 프로세서와 카메라 부품·센서, 배터리, 통신 등 기존 기술을 신속하게 적용한다. 영상인식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VR)과 접목하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드론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13% 성장, 222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군사용으로 개발되던 드론이 취미, 촬영용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들 기체는 구난, 운송 등 민간·공공 서비스에서 활약이 예상된다. 소형 무인기(30㎏ 이하) 시장 규모는 2020년 67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문제는 국내 산업 영세성이다. 우리나라 드론 관련 기업은 약 1500곳으로 추산되지만 순수 제조 기업은 30여곳 정도다. 외산 부품을 조립하는 곳이 많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비중이 높다. 국산 드론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18% 내외인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중국 DJI 등 해외 기업에 적수가 못 된다.

업계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공 수요 창출로 숨통을 틔우자고 제안한다. 정부도 실증사업 실시로 활로를 모색 중이다. 전력설비 점검, 도서·산간 등 물류 사각지대 배송 서비스가 대표 분야로 꼽힌다. 공공 서비스는 드론 활용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시장 창출 효과도 크다.

한강철교 구조물 점검을 위해 날아오르는 드론
한강철교 구조물 점검을 위해 날아오르는 드론

정부도 공공 수요 가능성에 주목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농어업과 공공 서비스, 인프라 관리 등 특정 분야에서 시장 창출 여지가 크다고 분석했다. 국내 시장 규모를 1억5000만달러로 추산했다.

이는 드론 산업의 서비스산업화와도 직결된다. 기체 제조에 그치지 않고 기존에 없던 서비스로 더 많은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이다. 드론 활용 서비스 시장은 제조 시장의 8~11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차원 실증 사업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려면 제도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드론, 공공 수요 창출 '투트랙' 전략 필요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