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국내 ICO는 아직 초기...무조건 투자는 큰 손실 우려

English Translation

국내 ICO는 이제 막 초기 시장에 들어섰다. 금융 당국이 ICO를 금지하고 나서면서 한박자 늦게 시동이 걸렸다.

대부분 기업이 스위스나 싱가포르 등 해외에 법인을 세우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정확히 집계된 수치는 없으나 국내 기업 100여곳 이상이 해외에서 ICO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러 분야 스타트업이나 ICT기업, 중소·중견기업 등이 기존 사업과 기술력에 블록체인을 접목해 리버스 ICO를 준비한다.

더루프가 선보인 '아이콘'은 스위스에서 진행한 ICO로 450억원 규모 자금을 모집했다. 대표적인 국내 기업 ICO 사례로 꼽힌다. 글로스퍼 '하이콘', 현대BS&C '에이치닥', 엑스블록시스템즈 '애스톤' 등도 스위스에서 ICO를 진행했다. 지퍼, 메디블록 등은 홍콩에서 ICO에 들어갔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를 만들던 직토는 '인슈어리움'을 발행, 기관투자자 사모판매에서만 당초 예상치 두배인 200억원이 넘는 투자를 유치했다. 당초 계획했던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 판매를 굳이 진행할 필요가 없었다.

프리ICO나 ICO가 이뤄진 장소는 해외였지만 국내 투자자 자금도 적지 않게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력이 큰 기관투자자는 물론이고 높은 수익을 노리는 개인투자자 참여도 증가하는 추세다. 주로 발행 기업이 운영하는 공식 모바일 메신저 오픈 채팅방 등으로 정보 유통이 이뤄진다. 암호화폐 커뮤니티 등을 통해 입소문을 타고 투자자가 모인다. 최근에는 해외 ICO 투자를 대행하는 전문 사이트나 공동구매 사이트까지 성행한다.

해외 ICO 투자로 소위 '대박'을 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ICO 투자대행을 빙자한 사기 피해도 급증했다. 카카오나 빗썸 등 유명 기업이 발행 예정인 암호화폐라며 투자자를 속여 자금을 편취하고 잠적하는 식이다. 암호화폐나 ICO는 국내 명확한 법적 규정이 없다. 피해를 입어도 구제 받기 어렵다. 금융감독원이나 경찰 신고 접수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암호화폐 지갑 기록이나 전송 내역을 들이밀어도 피해 사실 입증에서부터 막히기 일쑤다.

무분별한 ICO 투자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상적으로 진행된 ICO라 할지라도 거래소 상장 후 시세는 기대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데드코인 사례와 마찬가지로 중간에 프로젝트가 엎어지거나 사업성 부족으로 거래량이 정체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ICO가 최근 창업·스타트업계에서 손쉬운 자금조달 수단으로 각광받는다”면서 “시장성이나 사업성, 기술력과는 별개로 거래소 상장에 따른 시세차익만 기대하고 투자했다가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