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멈춰선 ESS 생태계…정부 "상반기 중 원인 조사 마무리"

지난해 5월 한국전력 경산변전소 내 너지저장장치(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날 화재로 배터리 1개동(16㎡) 등이 불에 탔다. 이 지역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 중인 모습. <전자신문DB>
지난해 5월 한국전력 경산변전소 내 너지저장장치(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날 화재로 배터리 1개동(16㎡) 등이 불에 탔다. 이 지역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 중인 모습. <전자신문DB>

지난 2017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는 총 21건에 이른다. 화재가 본격화된 건 지난해 5월부터다. 경북 경산변전소를 시작으로 영암 풍력발전소, 군산 태양광 발전소, 해남 태양광발전소, 경남 거창 풍력발전소 등 전국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에서 화재가 잇따랐다.

ESS 화재가 잇따르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국 모든 사업장에 대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안전조치를 시행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화재가 멈추지 않자 결국 올해 초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 345개소에 대한 가동을 중단했다. 이어 LG화학이 자사 배터리를 탑재한 ESS 389개소에 대해 가동 중단을 요청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산업부를 중심으로 홍익대, 한국기술교육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연구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화재감시학회,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한국전지산업협회 등이 조사위에 참여한다.

위원회는 실증시험 등을 통해 사고원인을 규명하고 가동중단 사업장 지원방안과 화재사고 재발방지 대책을 상반기 안에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ESS 설치기준과 시공·운영상 안전기준 강화, ESS 관련 표준·인증기준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현재 거론되는 화재 원인으로는 ESS 시스템 제어 오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전력변환장치(PCS) 결함, 배터리 결함, 환경요인, 작업자 부주의, 관리부재 등이 꼽힌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지난 4일 열린 국회 산업부 업무보고에서 상반기 안에 조사를 끝내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국표원 관계자는 “ESS 화재 사고 원인 조사는 지난해 12월 구성한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회를 통해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매일 실증 실험을 진행하는 단계”라면서 “산업부에서는 관련해서 법령 등 대책을 준비하고 있으며 발표는 종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