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통신망 공동수급, 어떻게 구성되나

사업자 이원화와 공동수급에 따른 지역 구분 방식 비교. 지역 구분 방식에서는 협상에 따라 우회 망을 구성할 수 있다.
사업자 이원화와 공동수급에 따른 지역 구분 방식 비교. 지역 구분 방식에서는 협상에 따라 우회 망을 구성할 수 있다.

통신망을 구성하는 방식에는 사업자 이원화, 사업자 공동수급이 있다. 공동수급은 다시 장비 구분 방식과 지역 구분 방식으로 나뉜다.

장비 구분 방식은 한 사업자는 네트워크 장비를, 다른 사업자는 보안 장비를 넣는 방식으로 기능을 구분해 장비를 공급한다. 비용과 기술에서 경쟁력은 갖출 수 있지만 통신망은 1개로 망 생존성과는 거리가 멀다.

망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방식은 사업자 이원화와 지역 구분 방식이다.

◇사업자 이원화 vs 공동수급 지역 구분 방식

사업자 이원화는 복수의 망 사업자를 선정, 이원화된 두 개의 망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주사업자와 보조사업자가 별도 망을 구축, 주사업자 망에 문제가 발생하면 보조사업자 망을 사용한다.

보조망은 평상시 활용하지 않는 대기상태(standby)로 둔다. 그러나 최근에는 보조망도 평상시에 활용하는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형태로 망을 구성하는 사례도 있다. 장애 발생 시 보조망 가동과 정합성 확인에 드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사업자 이원화는 망 생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단일망의 경우 망 이중화를 하더라도 KT 아현화재처럼 중요 지점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통신 마비를 막기가 어렵다.

KT 아현화재 이후 주요 공공기관에서 사업자 이원화를 검토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사업자 이원화는 단일망 구성 대비 비용이 두 배 소요돼 예산 확보가 관건이다. 이에 대한 대안이 사업자 공동수급 중 지역 구분 방식이다.

◇지역 구분, 설계에 따라 효과 다양해

사업자 공동수급 중 지역 구분 방식은 두 사업자가 지분을 나누어 갖고 사업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지분만큼 지역을 나누어 각자 망을 구축한다.

A사업자가 70%의 지분을 가졌다면 사업 구역 70%에 망을 구축하고 나머지 30%는 B사업자가 구축한다. A사업자 망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B사업자 망으로 트래픽을 우회했다가 다시 A사업자 망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장애에 대응할 수 있다. 기술협상 과정에서 망 설계에 따라 논의가 가능하다.

사업자 이원화 수준의 생존성 확보는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한정된 예산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대안으로 손꼽힌다.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는 지분이 많은 사업자에 있다. 책임 소재가 각 사업자에 있는 사업자 이원화와 다른 점 중 하나다.

경기도 교육청의 경우 KT와 SK브로드밴드가 70 대 30 비율로 지역을 나눠 망을 구축했다. 중계구간에 우회로를 설치, 장애에 대비하고 있다.

◇예산 한계 상황에서 현실적 대안

공동수급은 가격 하락 방지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다. 공동수급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사업자는 가격 경쟁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A〃B 사업자가 공동수급으로 참여할 경우, C 사업자는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양사의 장점을 조합, 단일 참여 시보다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통신사나 장비 업체는 사업자 이원화를 통해 보다 많은 사업 참여 기회를 원한다. 그러나 기존 대비 두 배 가까운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만큼, 지역 구분 방식의 공동수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통신사 관계자는 “예산이 그대로인 상황에서 발주만 사업자 이원화로 한다면 오히려 수익성은 떨어지게 된다”면서 “생존성 강화 등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일부 기관이 도입했던 공동수급 방식이 점차 확산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