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시대', 농촌 일자리 3만7000개 창출

농식품부, 청년 유입·농업 정보화 추진
경북 상주 등 혁신밸리 전국 4개소 구축
창농 교육·농지 임대…인재 양성 박차
농가에 첨단기술 전수 '컨설턴트'도 주목

“세계 최대 수직형 식물공장으로 고부가가치 식물을 재배하면 높은 소득을 올리고 관련 기자재 생산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합니다.”

최재빈 넥스트온 대표는 2018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하는 '수직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에 선정돼 식물 생산은 물론 기자재 수출로도 많은 성과를 이뤘다고 밝혔다. 사업은 기존 건축물을 활용해 농장을 구축하는 것으로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등이 지원한다. 일반 온실 대비 구축비용이 17배 높지만 바이오의약품,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고부가 특화식물 재배로 수익을 창출한다. 올해도 지원사업이 이뤄져 성과 창출이 기대된다.

스마트팜 딸기농장
스마트팜 딸기농장

농촌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력 수급 해소, 청년인구 유입, 농업의 고부가가치화에 스마트팜이 한몫을 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팜은 온실 축사 등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시설 장비로 생산물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농장이다.

스마트팜은 고령화에 따른 농촌 일손 부족을 메우고 농촌을 젊게 만드는 데 성과를 낼 전망이다. 농가에서 스마트팜 도입은 자가 노동의 질을 높여 근로시간은 줄이고 소득은 늘리는 효과가 있다. 농업의 스마트화가 지속되면 단순노동을 위한 고용은 기계로 대체되고 농장주는 경영관리에 힘을 쏟는다. 임시직 고용 일자리는 줄지만 핵심인력이 참여해 수확용 기계를 조작하는 일의 형태로 농촌 일자리의 변화가 기대된다.

'스마트팜 시대', 농촌 일자리 3만7000개 창출

스마트팜이 확대되면 단독직업으로서 스마트팜 농가와 스마트팜 산업의 첨단 기술을 이어주는 컨설팅 일자리 창출도 기대된다. 실제 컨설턴트는 2인 1조를 이뤄 지역 스마트팜에 일주일에 1회씩 주기적으로 방문해 스마트팜의 ICT 장비에서 모여진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과 소득을 높여주는 일을 하고 있다.

정부도 2018년 말 농촌의 고령화에 따른 일자리 수급 어려움과 청년인력 농촌 유입, 농업의 정보화를 위해 스마트팜 확산 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당시 4000㏊에 그친 스마트팜을 2022년까지 7000㏊로 늘리고 축산 스마트팜 5750호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를 구축해 스마트팜 성공 모델을 확산시키로 했다. 혁신밸리 조성지로는 경상북도 상주와 전라북도 김제, 경상남도 밀양, 전라남도 고흥 등이 지난해 선정됐다.

혁신밸리에는 청년창업보육센터, 실증단지, 임대형 스마트팜 등이 갖춰진다.

청년창업 보육센터에선 창농 지식, 경영컨설팅, 스마트팜 운영관리 및 현장실습 등 20개월간 교육이 이뤄진다. 내년까지 청년 스마트팜 전문인력 500명을 양성할 방침이다.

임대형 스마트팜은 농촌에 기반이 없는 청년을 위해 진입장벽을 낮춰 스마트팜으로 창업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강원 평창, 충북 제천 등 혁신밸리 외 지역에도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내년까지 24㏊로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또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생산물 수출 등을 지원해 판로를 넓혀 준다는 구상이다.

'스마트팜 시대', 농촌 일자리 3만7000개 창출

한국노동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농식품부가 목표로 내건 대로 스마트팜 보급 경작지를 2023년까지 7000㏊로 늘리면 최대 3만7069개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2028년까지 1만㏊로 늘릴 경우 최대 4만1936개 일자리가 마련된다. 이는 유휴지를 개척해 만들어질 신규 일자리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파급효과를 감안하면 그 수치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스마트팜 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는 빅데이터 기반 구축 등이 이뤄져야 한다.

최세림 노동연구원 박사는 “스마트팜 산업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업으로 농업 빅데이터 수립과 관리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면서 “기술단계가 높아지면 수출용 전략품목 설정, 수출 상품 개발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기획: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팜 시대', 농촌 일자리 3만7000개 창출

]

자료 한국노동연구원

'스마트팜 시대', 농촌 일자리 3만7000개 창출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