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실감경제 정책, 왜 필요한가

[이슈분석]실감경제 정책, 왜 필요한가

실감경제(Immersive Economy)란 용어는 2018년 영국 이노베이트 UK가 제시하면서 통용되기 시작했다. 주요 국가는 2000년대 초반부터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VR)을 주목하고 다양한 분야에 실감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실감경제 태동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실감경제가 2~3년 사이 더욱 주목을 받게 된 것은 관련 기술 진화와 5세대(5G) 이동통신 등 기반 인프라가 확보됐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 중 하나가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시대'일 정도로 실감경제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실감경제를 도입하기 위한 각국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관련 기술과 서비스 시장을 선점하고 혁신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감경제 정책을 수립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감경제(Immersive Economy)란 용어는 2018년 영국 이노베이트 UK가 제시하면서 통용되기 시작했다.
실감경제(Immersive Economy)란 용어는 2018년 영국 이노베이트 UK가 제시하면서 통용되기 시작했다.

◇실감경제는 경험경제의 확장

실감경제는 VR과 AR 등 실감기술로 사회, 경제, 문화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험경제를 시간과 공간 측면에서 확장시킨 개념이다. 경험경제는 소비자가 느꼈던 좋은 경험에 맞춰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경제 개념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물리적 세계에서의 경험이므로 공간과 시간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실감기술을 활용하면 이 같은 경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VR과 AR 등 실감기술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자에게 더 많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마치 현장에서 서비스를 받고 제품을 체험하는 것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경험 가치가 더욱 커진다.

실감기술이 여러 산업에 영향을 미쳐 혁신을 유발하는 범용기술이라는 점에서 실감경제에 거는 기대도 크다. VR, AR 등은 전기나 인터넷처럼 어느 산업에나 적용을 통해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실감경제 구현 사례도 늘어난다. 지난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펴낸 '실감경제의 부상과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BMW는 뮌헨공장에서 테블릿PC에 AR 앱을 적용해 각종 부품 검사를 실행한다. 일일이 눈으로 살펴보던 작업이었지만 불과 몇 초 만에 부품 정상 여부 판독이 가능해졌다.

미국의 한 신용조합은 고객이 가상 환경에서 계좌 개설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둘러보며 고객과 실시간 채팅을 할 수 있는 '버추얼 월드'를 구현했다.

실감기술에 의한 생산 유발액은 국내만 41조원(2023년)으로 예상될 정도로 세계 시장에 커다란 가치를 가져다줄 전망이다. 이 때문에 해외 여러 나라가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실감 기술 기반 사회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실감기술에 의한 생산 유발액은 국내만 41조원(2023년)으로 예상될 정도로 세계 시장에 커다란 가치를 가져다줄 전망이다. 이 때문에 해외 여러 나라가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실감 기술 기반 사회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시장 주도, 늦지 않았다

실감기술에 의한 생산 유발액은 국내만 41조원(2023년)으로 예상될 정도로 세계시장에 커다란 가치를 가져다줄 전망이다. 이 때문에 해외 여러 나라가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실감 기술 기반 사회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VR에 주목한 미국은 국가 안보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국방, 재난, 의료, 교육 분야에서 실감기술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영국과 독일, 프랑스, 중국, 일본, 싱가포르, 캐나다 역시 다양한 정책과 중장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관계부처 협동으로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실감콘텐츠 산업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그러나 콘텐츠 분야에 국한된 정책이어서 사회와 경제, 문화 전반에 실감기술을 적용하는 실감경제 정책과는 거리가 멀었다.

과기정통부가 수립 중인 실감경제 정책은 정부 차원에서 수립하는 첫 실감경제 정책이다. 산업 혁신은 물론 시장 선점,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내용이 담겨야 한다는 게 업계 바람이다.

VR·AR 전문 업체 대표는 “디바이스 등 일부 분야를 제외하면 실감경제 핵심인 실감기술 산업 경쟁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수준에 뒤처졌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는 통신 인프라가 세계적 수준이고 아직 실감경제 관련 시장도 초기라고 볼 수 있어 민관이 협력해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한다면 충분히 시장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실감경제 정책에는 먼저 실감경제의 개념과 도입 사례, 국내외 현황 등 전반적인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실감경제를 위한 AR, VR, 홀로그램 등 실감기술 연구개발(R&D)과 인재양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도 예상된다.
실감경제 정책에는 먼저 실감경제의 개념과 도입 사례, 국내외 현황 등 전반적인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실감경제를 위한 AR, VR, 홀로그램 등 실감기술 연구개발(R&D)과 인재양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도 예상된다.

◇실감경제 정책, 무슨 내용 담기나

과기정통부는 아직 실감경제 정책의 최종 명칭을 확정하지 않았다. 현실과 가상을 융합해 다양한 혁신을 가능케 하고 경제 효과를 유발한다는 내용을 담아야 하기 때문에 고심이 깊어진다.

발표는 내달 또는 다음 달로 예상된다. 정책에는 먼저 실감경제 개념과 도입 사례, 국내외 현황 등 전반적인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실감경제를 위한 AR, VR, 홀로그램 등 실감기술 연구개발(R&D)과 인재양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도 예상된다.

관련 기술과 제품, 서비스를 만드는 중소기업 지원과 산업 육성책, 사회·문화·경제 전반에 실감기술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세부 수행과제, 공공 또는 민관 합동 시범사업 계획, 정책 도입 시 기대효과 등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실감경제의 부상과 파급효과' 보고서는 실감경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 산업에 실감기술을 적용하는 플래그십 프로젝트 확대를 제안했다. 실감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학위 과정 신설 등 다양한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감기술 활용, 실감기술 관련 조달 혁신 등 다양한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